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3.vacchagotta
55. viññāṇāppaccakkhakammasuttaṃ (SN 33.16-식(識)에 대한 실현 없음 경)
55. viññāṇāppaccakkhakammasuttaṃ (SN 33.16-식(識)에 대한 실현 없음 경)
661. sāvatthinidānaṃ. “viññāṇe kho, vaccha, appaccakkhakammā, viññāṇasamudaye appaccakkhakammā, viññāṇanirodhe appaccakkhakammā, viññāṇ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appaccakkhakammā; evamimāni anekavihitāni diṭṭhigatāni loke uppajjanti — sassato lokoti vā, asassato lokoti vā ... pe ... neva hoti na na hoti tathāgato paraṃ maraṇāti vāti. ayaṃ kho, vaccha, hetu, ayaṃ paccayo, yānimāni anekavihitāni diṭṭhigatāni loke uppajjanti — sassato lokoti vā, asassato lokoti vā, antavā lokoti vā, anantavā lokoti vā, taṃ jīvaṃ taṃ sarīranti vā, aññaṃ jīvaṃ aññaṃ sarīranti vā, hoti tathāgato paraṃ maraṇāti vā, na hoti tathāgato paraṃ maraṇāti vā, hoti ca na ca hoti tathāgato paraṃ maraṇāti vā, neva hoti na na hoti tathāgato paraṃ maraṇāti vā”ti. pañcapaññāsamaṃ.
사왓티에서 설해짐. “왓차여, 식(識)에 대한 실현 없음으로부터, 식(識)의 일어남에 대한 실현 없음으로부터, 식(識)의 소멸에 대한 실현 없음으로부터, 식(識)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실현 없음으로부터 이렇게 ‘세상은 영원하다거나 …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존재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라는 이런 다양한 치우친 견해가 세상에서 일어난다.
왓차여, ‘세상은 영원하다거나, 세상은 영원하지 않다거나, 세상은 끝이 있다거나, 세상은 끝이 없다거나, 그 생명이 그 몸이라거나, 다른 생명과 다른 몸이라거나, 여래는 사후에 존재한다거나,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 않는다거나,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기도 하고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거나,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존재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라는 이런 다양한 치우친 견해들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데에는 이런 원인, 이런 조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