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aniccādisuttanavakaṃ (SN 35.43-51-무상(無常) 등 아홉 개의 경)
5. sabbāniccavaggo, 1-9. aniccādisuttanavakaṃ (SN 35.43-51-무상(無常) 등 아홉 개의 경)
43. sāvatthinidānaṃ. tatra kho ... pe ... “sabbaṃ, bhikkhave, aniccaṃ. kiñca, bhikkhave, sabbaṃ aniccaṃ? cakkhu, bhikkhave, aniccaṃ, rūpā aniccā, cakkhuviññāṇaṃ aniccaṃ, cakkhusamphasso anicco.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iccaṃ ... pe ... jivhā aniccā, rasā aniccā, jivhāviññāṇaṃ aniccaṃ, jivhāsamphasso anicco. yampidaṃ jivhā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iccaṃ. kāyo anicco ... pe ... mano anicco, dhammā aniccā, manoviññāṇaṃ aniccaṃ, manosamphasso anicco.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iccaṃ.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cakkhusmimpi nibbindati, rūpesupi nibbindati, cakkhuviññāṇepi nibbindati, cakkhusamphassepi nibbindati.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smimpi nibbindati ... pe ... manasmimpi nibbindati, dhammesupi nibbindati, manoviññāṇepi nibbindati, manosamphassepi nibbindati,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smimpi nibbindati. nibbindaṃ virajjati; virāgā vimuccati; vimuttasmiṃ vimuttamiti ñāṇaṃ hoti.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pajānātī”ti. paṭhamaṃ.
사왓티에서 설해짐. 거기서 …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무상(無常)하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일체(一切)는 무상(無常)함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무상하다. 색(色)들은 무상하다. 안식(眼識)은 무상하다. 안촉(眼觸)은 무상하다. 안촉(眼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무상하다. … 설(舌)은 무상하다. 미(味)들은 무상하다. 설식(舌識)은 무상하다. 설촉(舌觸)은 무상하다. 설촉(舌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무상하다. 신(身)은 무상하다. … 의(意)는 무상하다. 법(法)들은 무상하다. 의식(意識)은 무상하다. 의촉(意觸)은 무상하다. 의촉(意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무상하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안(眼)에 대해서도 염오(厭惡)하고, 색(色)들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안식(眼識)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안촉(眼觸)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안촉(眼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에 대해서도 염오한다. … 의(意)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법(法)들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의식(意識)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의촉(意觸)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의촉(意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에 대해서도 염오한다. 염오하는 자는 이탐(離貪)한다. 이탐으로부터 해탈(解脫)한다. 해탈했을 때 이렇게 해탈의 앎이 있다. ㅡ '태어남은 다했다. 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을 했다. 다음에는 현재 상태[유(有)]가 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라고. 비구들이여, 이것이 일체의 생각된 것의 뿌리 뽑힘에 도움 되는 그 실천이다.
44. “sabbaṃ, bhikkhave, dukkhaṃ ... pe .... dutiy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고(苦)다. …
45. “sabbaṃ, bhikkhave, anattā ... pe .... tatiy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무아(無我)다.
46. “sabbaṃ, bhikkhave, abhiññeyyaṃ ... pe .... catutth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실답게 알려져야 하는 것이다.
47. “sabbaṃ, bhikkhave, pariññeyyaṃ ... pe .... pañcam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것이다.
48. “sabbaṃ, bhikkhave, pahātabbaṃ ... pe .... chaṭṭh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49. “sabbaṃ, bhikkhave, sacchikātabbaṃ ... pe .... sattam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실현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50. “sabbaṃ, bhikkhave, abhiññāpariññeyyaṃ ... pe .... aṭṭham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실답게 안 뒤에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것이다.
51. “sabbaṃ, bhikkhave, upaddutaṃ ... pe .... navamaṃ.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시달리는 것이다
이후 경번호를 모두 재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