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5.saḷāyatana(1) > gilāna
8. sambahulabhikkhusuttaṃ (SN 35.81-많은 비구 경)
8. gilānavaggo, 8. sambahulabhikkhusuttaṃ (SN 35.81-많은 비구 경)
81. atha kho sambahulā bhikkhū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ṃsu ... pe ... ekamantaṃ nisinnā kho te bhikkhū bhagavantaṃ etadavocuṃ — “idha no, bhante, aññatitthiyā paribbājakā amhe evaṃ pucchanti — ‘kimatthiyaṃ, āvuso, samaṇe gotame brahmacariyaṃ vussatī’ti? evaṃ puṭṭhā mayaṃ, bhante, tesaṃ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evaṃ byākaroma — ‘dukkhassa kho, āvuso, pariññatthaṃ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kacci mayaṃ, bhante, evaṃ puṭṭhā evaṃ byākaramānā vuttavādino ceva bhagavato homa, na ca bhagavantaṃ abhūtena abbhācikkhāma, dhammassa cānudhammaṃ byākaroma, na ca koci sahadhammiko vādānuvādo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atī”ti?
많은 비구가 세존에게 왔다. …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들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여기, 대덕이시여, 외도 유행승들은 저희에게 ‘도반들이여, 무엇을 목적으로 사문 고따마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까?’라고 묻습니다. 이렇게 질문받은 저희는, 대덕이시여, ‘도반들이여, 고(苦)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목적으로 세존에게서 범행의 삶을 삽니다.’라고 대답합니다. 대덕이시여, 이렇게 질문받고 이렇게 설명하는 저희는 세존께서 설하신 것을 말하는 것입니까? 사실 아닌 것으로 세존을 비방하지는 않습니까? 가르침을 가르침에 일치하게 설명합니까? 법에 맞게 질책하여 말하는 어떤 사람에게 비난받지 않습니까?”라고.
“taggha tumhe, bhikkhave, evaṃ puṭṭhā evaṃ byākaramānā vuttavādino ceva me hotha, na ca maṃ abhūtena abbhācikkhatha, dhammassa cānudhammaṃ byākarotha, na ca koci sahadhammiko vādānuvādo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ati. dukkhassa hi, bhikkhave, pariññatthaṃ mayi brahmacariyaṃ vussati. sace pana vo, bhikkhave, aññatitthiyā paribbājakā evaṃ puccheyyuṃ — ‘katamaṃ pana taṃ, āvuso, dukkhaṃ, yassa pariññāya samaṇe gotame brahmacariyaṃ vussatī’ti? evaṃ puṭṭhā tumhe, bhikkhave, tesaṃ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evaṃ byākareyyātha — ‘cakkhu kho, āvuso, dukkhaṃ, tassa pariññāya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i. rūpā ... pe ...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dukkhaṃ. tassa pariññāya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i ... pe ... mano dukkho ... pe ...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dukkhaṃ. tassa pariññāya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i. idaṃ kho taṃ, āvuso, dukkhaṃ, tassa pariññāya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evaṃ puṭṭhā tumhe, bhikkhave, tesaṃ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evaṃ byākareyyāthā”ti. aṭṭhamaṃ.
“참으로, 비구들이여, 이렇게 질문받고 이렇게 설명하는 그대들은 내가 설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사실 아닌 것으로 나를 비방하지 않는다. 가르침을 가르침에 일치하게 설명한다. 법에 맞게 질책하여 말하는 어떤 사람에게 비난받지 않는다. 참으로, 비구들이여, 고(苦)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목적으로 나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산다. 그런데 비구들이여, 만약에 외도 유행승들이 그대들에게 ‘도반들이여, 그 고(苦)가 무엇이기에 그것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위해 사문 고따마에게서 범행의 삶을 삽니까?’라고 질문한다면, 비구들이여, 이런 질문을 받은 그대들은 그 외도 유행승들에게 이렇게 설명해야 한다. ― ‘도반들이여, 안(眼)은 고(苦)입니다. 그것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위해 세존에게서 범행의 삶을 삽니다. 색(色)은 … 이런 안촉(眼觸)을 조건으로 생기는 락(樂)이거나 고(苦)거나 불고불락(不苦不樂)의 느낌도 고(苦)입니다. 그것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위해 세존에게서 범행의 삶을 삽니다. … 의(意)는 고(苦)입니다. … 이런 의촉(意觸)을 조건으로 생기는 락(樂)이거나 고(苦)거나 불고불락(不苦不樂)의 느낌도 고(苦)입니다. 그것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위해 세존에게서 범행의 삶을 삽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그 고(苦)입니다. 그것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위해 세존에게서 범행의 삶을 삽니다. 비구들이여, 이런 질문을 받은 그대들은 그 외도 유행승들에게 이렇게 설명해야 한다.”
Comments
보인
2023.01.21 13:0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