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5.saḷāyatana(1) > sabba
2. pahānasuttaṃ (SN 35.24-버림 경)
3. sabbavaggo, 2. pahānasuttaṃ (SN 35.24-버림 경)
24. “sabbappahānāya vo, bhikkhave, dhammaṃ desessāmi. taṃ suṇātha. katamo ca, bhikkhave, sabbappahānāya dhammo? cakkhuṃ, bhikkhave, pahātabbaṃ, rūpā pahātabbā, cakkhuviññāṇaṃ pahātabbaṃ, cakkhusamphasso pahātabbo,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pahātabbaṃ ... pe ... yampidaṃ sota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pahātabbaṃ... yampidaṃ ghāna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pahātabbaṃ. jivhā pahātabbā, rasā pahātabbā, jivhāviññāṇaṃ pahātabbaṃ, jivhāsamphasso pahātabbo, yampidaṃ jivhā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pahātabbaṃ. kāyo pahātabbo... mano pahātabbo, dhammā pahātabbā, manoviññāṇaṃ pahātabbaṃ, manosamphasso pahātabbo,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pahātabbaṃ. ayaṃ kho, bhikkhave, sabbappahānāya dhammo”ti. dutiyaṃ.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일체(一切)의 버림을 위한 법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무엇이 일체의 버림을 위한 법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색(色)들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안식(眼識)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안촉(眼觸)은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안촉(眼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 이촉(耳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 비촉(鼻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설(舌)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미(味)들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설식(舌識)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설촉(舌觸)은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설촉(舌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신(身)은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 의(意)는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법(法)들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의식(意識)은 버려져야하는 것이다. 의촉(意觸)은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의촉(意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버려져야 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일체의 버림을 위한 법이다.
Comments
보인
2022.01.02 16:3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