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5.saḷāyatana(1)
8. ajjhattadukkhātītānāgatasuttaṃ (SN 35.8-안의 것의 과거-미래의 고(苦) 경)
1. aniccavaggo, 8. ajjhattadukkhātītānāgatasuttaṃ (SN 35.8-안의 것의 과거-미래의 고(苦) 경)
8. “cakkhuṃ, bhikkhave, dukkhaṃ atītānāgataṃ; ko pana vādo paccuppannassa!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atītasmiṃ cakkhusmiṃ anapekkho hoti; anāgataṃ cakkhuṃ nābhinandati; paccuppannassa cakkhussa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paṭipanno hoti. sotaṃ dukkhaṃ ... pe ... ghānaṃ dukkhaṃ ... pe ... jivhā dukkhā atītānāgatā; ko pana vādo paccuppannāya!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atītāya jivhāya anapekkho hoti; anāgataṃ jivhaṃ nābhinandati; paccuppannāya jivhāya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paṭipanno hoti. kāyo dukkho ... pe ... mano dukkho atītānāgato; ko pana vādo paccuppannassa!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atītasmiṃ manasmiṃ anapekkho hoti; anāgataṃ manaṃ nābhinandati; paccuppannassa manassa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paṭipanno hotī”ti. aṭṭhamaṃ.
비구들이여, 과거와 미래의 안(眼)은 고(苦)다. 현재의 것이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비구들이여, 이렇게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과거의 안(眼)에 대해 원하지 않는다. 미래의 안(眼)을 기뻐하지 않는다. 현재의 안(眼)의 염오(厭惡)-이탐(離貪)-소멸(消滅)을 위해 실천한다. 이(耳)는 고(苦)다. … 비(鼻)는 고(苦)다. 미래의 설(舌)은 고(苦)다. 현재의 것이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비구들이여, 이렇게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과거의 설(舌)에 대해 원하지 않는다. 미래의 설(舌)을 기뻐하지 않는다. 현재의 설(舌)의 염오(厭惡)-이탐(離貪)-소멸(消滅)을 위해 실천한다. 신(身)은 고(苦)다. … 과거와 미래의 의(意)는 고(苦)다. 현재의 것이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비구들이여, 이렇게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과거의 의(意)에 대해 원하지 않는다. 미래의 의(意)를 기뻐하지 않는다. 현재의 의(意)의 염오(厭惡)-이탐(離貪)-소멸(消滅)을 위해 실천한다.
Comments
보인
2023.01.21 17:2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