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5..saḷāyatana(2)
7. ajjhattāniccahetusuttaṃ (SN 35.123-안의 무상의 원인 경)
14. devadahavaggo, 7. ajjhattāniccahetusuttaṃ (SN 35.123-안의 무상의 원인 경)
140. “cakkhuṃ, bhikkhave, aniccaṃ. yopi hetu, yopi paccayo cakkhussa uppādāya, sopi anicco. aniccasambhūtaṃ, bhikkhave, cakkhu kuto niccaṃ bhavissati ... pe ... jivhā aniccā. yopi hetu, yopi paccayo jivhāya uppādāya sopi anicco. aniccasambhūtā, bhikkhave, jivhā kuto niccā bhavissati ... pe ... mano anicco. yopi, bhikkhave, hetu yopi paccayo manassa uppādāya, sopi anicco. aniccasambhūto, bhikkhave, mano kuto nicco bhavissati!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cakkhusmimpi nibbindati ... pe ... jivhāyapi nibbindati ... pe ... nibbindaṃ virajjati; virāgā vimuccati; vimuttasmiṃ vimuttamiti ñāṇaṃ hoti.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pajānātī”ti. sattamaṃ.
비구들이여, 안(眼)은 무상(無常)하다. 안(眼)의 생김을 위한 원인도 조건도 무상(無常)하다. 비구들이여, 무상(無常)에 의해 생겨난 안(眼)이 어째서 상(常)이 되겠는가? … 설(舌)은 무상(無常)하다. 설(舌)의 생김을 위한 원인도 조건도 무상(無常)하다. 비구들이여, 무상(無常)에 의해 생겨난 설(舌)이 어째서 상(常)이 되겠는가? … 의(意)는 무상(無常)하다. 의(意)의 생김을 위한 원인도 조건도 무상(無常)하다. 비구들이여, 무상(無常)에 의해 생겨난 의(意)가 어째서 상(常)이 되겠는가?
비구들이여, 이렇게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안(眼)에 대해서도 염오(厭惡)하고 … 설(舌)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 염오하는 자는 이탐(離貪)하고, 이탐(離貪)으로부터 해탈(解脫)한다. 해탈했을 때 ‘나는 해탈했다.’라는 앎이 있다. ㅡ ‘태어남은 다했다. 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을 했다. 다음에는 현재 상태[유(有)]가 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Comments
보인
2023.03.16 07:2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