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5..saḷāyatana(2) > nandikkhaya
9. koṭṭhikānattasuttaṃ (SN 35.147-꼿티까 무아(無我) 경)
16. nandikkhayavaggo, 9. koṭṭhikānattasuttaṃ (SN 35.147-꼿티까 무아(無我) 경)
164. ekamantaṃ ... pe ... vihareyyanti. “yo kho, koṭṭhika,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ko ca, koṭṭhika, anattā? cakkhu kho, koṭṭhika,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rūpā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cakkhuviññāṇaṃ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cakkhusamphasso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 pe ... jivhā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 pe ... mano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dhammā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manoviññāṇaṃ... manosamphasso...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 yo kho, koṭṭhika, anattā, tatra te chando pahātabbo”ti. navamaṃ.
한 곁에 앉은 … 머물 것입니다.”라고.
“꼿티까여, 무아(無我)인 것,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그러면, 꼿티까여, 무엇이 무아(無我)인가? 꼿티까여, 안(眼)은 무아(無我)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색(色)들은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안식(眼識)은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안촉(眼觸)은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안촉(眼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느낌도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 설(舌)은 무아(無我)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 의(意)는 무아(無我)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법(法)들은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의식(意識)은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의촉(意觸)은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 의촉(意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느낌도 무아다. 거기에 대한 그대의 관심은 버려져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