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ammanirodhasuttaṃ (SN 35.146-업의 소멸 경)[SN 35.129]
15. navapurāṇavaggo, 1. kammanirodhasuttaṃ (SN 35.146-업(業)의 소멸 경)[SN 35.129]
146. “navapurāṇāni, bhikkhave, kammāni desessāmi kammanirodhaṃ kammanirodhagāminiñca paṭipadaṃ.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katamañca, bhikkhave, purāṇakammaṃ? cakkhu, bhikkhave, purāṇakammaṃ abhisaṅkhataṃ abhisañcetayitaṃ vedaniyaṃ daṭṭhabbaṃ ... pe ... jivhā purāṇakammā abhisaṅkhatā abhisañcetayitā vedaniyā daṭṭhabbā ... pe ... mano purāṇakammo abhisaṅkhato abhisañcetayito vedaniyo daṭṭhabbo. idaṃ vuccati, bhikkhave, purāṇakammaṃ. katamañca, bhikkhave, navakammaṃ? yaṃ kho, bhikkhave, etarahi kammaṃ karoti kāyena vācāya manasā, idaṃ vuccati, bhikkhave, navakammaṃ. katamo ca, bhikkhave, kammanirodho? yo kho, bhikkhave, kāyakammavacīkammamanokammassa nirodhā vimuttiṃ phusati, ayaṃ vuccati, bhikkhave, kammanirodho. katamā ca, bhikkhave, kam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 ayaṃ vuccati, bhikkhave, kam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iti kho, bhikkhave, desitaṃ mayā purāṇakammaṃ, desitaṃ navakammaṃ, desito kammanirodho, desitā kammanirodhagāminī paṭipadā. yaṃ kho, bhikkhave, satthārā karaṇīyaṃ sāvakānaṃ hitesinā anukampakena anukampaṃ upādāya, kataṃ vo taṃ mayā. etāni, bhikkhave, rukkhamūlāni, etāni suññāgārāni. jhāyatha, bhikkhave, mā pamādattha; mā pacchāvippaṭisārino ahuvatth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paṭhamaṃ.
비구들이여, 새로운 업(業)과 이전의 업(業), 업(業)의 소멸과 업(業)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말하겠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이전의 업(業)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이전의 업(業)이고 형성된 것, 의도된 것, 경험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설(舌)은 이전의 업(業)이고 형성된 것, 의도된 것, 경험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 의(意)는 이전의 업(業)이고 형성된 것, 의도된 것, 경험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이전의 업(業)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새로운 업(業)인가? 비구들이여, 몸과 말과 의(意)에 의해 지금 짓는 업이 새로운 업(業)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업(業)의 소멸인가? 비구들이여, 신업(身業)과 구업(口業)과 의업(意業)의 소멸로부터 해탈에 닿는 것, 비구들이여, 이것이 업(業)의 소멸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업(業)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인가? 오직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이 업(業)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이니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업(業)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나는 이전의 업(業)을 설했고, 새로운 업(業)을 설했고, 업(業)의 소멸을 설했고, 업(業)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설했다. 비구들이여, 제자들을 위해 베푸는 자인 스승이 행해야 하는 것을, 연민하기 때문에, 나는 그대들을 위해서 했다. 비구들이여, 나무 밑이 있고, 빈집이 있다. 비구들이여, 선(禪)을 하라. 방일(放逸)하지 마라. 나중에 뉘우침이 있게 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을 위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