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5..saḷāyatana(2)
2. aniccanibbānasappāyasuttaṃ (SN 35.147-열반에 도움이 되는 무상 경)
15. navapurāṇavaggo, 2. aniccanibbānasappāyasuttaṃ (SN 35.147-열반에 도움이 되는 무상 경)
147. “nibbānasappāyaṃ vo, bhikkhave, paṭipadaṃ desessāmi. taṃ suṇātha ... pe ... katamā ca sā, bhikkhave, nibbānasappāyā paṭipadā? idha, bhikkhave, bhikkhu cakkhuṃ aniccanti passati, rūpā aniccāti passati, cakkhuviññāṇaṃ aniccanti passati, cakkhusamphasso aniccoti passati.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iccanti passati ... pe ... jivhā aniccāti passati, rasā aniccāti passati, jivhāviññāṇaṃ aniccanti passati, jivhāsamphasso aniccoti passati, yampidaṃ jivhā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iccanti passati ... pe ... mano aniccoti passati, dhammā aniccāti passati, manoviññāṇaṃ aniccanti passati, manosamphasso aniccoti passati,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aniccanti passati. ayaṃ kho sā, bhikkhave, nibbānasappāyā paṭipadā”ti. dutiyaṃ.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열반에 도움이 되는 실천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말할 것이다. …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열반에 도움이 되는 실천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안(眼)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색(色)들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안식(眼識)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안촉(眼觸)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안촉을 조건으로 생기는 즐겁거나 괴롭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도 무상하다.’라고 본다 … ‘설(舌)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미(味)들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설식(舌識)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설촉(舌觸)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설촉을 조건으로 생기는 즐겁거나 괴롭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도 무상하다.’라고 본다 … ‘의(意)는 무상하다.’라고 보고, ‘법(法)들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의식(意識)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의촉(意觸)은 무상하다.’라고 보고, ‘의촉을 조건으로 생기는 즐겁거나 괴롭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도 무상하다.’라고 본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열반에 도움이 되는 그 실천이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