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6.vedanā
6. dutiyāanandasuttaṃ (SN 36.16-아난다 경2)
2. rahogatavaggo, 6. dutiyāanandasuttaṃ (SN 36.16-아난다 경2)
264. atha kho āyasmā ānand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aṃ kho āyasmantaṃ ānandaṃ bhagavā etadavoca — “katamā nu kho, ānanda, vedanā, katamo vedanāsamudayo, katamo vedanānirodho, katamā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ko vedanāya assādo, ko ādīnavo, kiṃ nissaraṇan”ti? “bhagavaṃmūlakā no, bhante, dhammā bhagavannettikā bhagavampaṭisaraṇā. sādhu, bhante, bhagavantaññeva paṭibhātu etassa bhāsitassa attho. bhagavato sutvā bhikkhū dhāressantī”ti. “tena hi, ānanda, suṇohi, sādhukaṃ manasi karohi;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āyasmā ānando bhagavato paccassosi. bhagavā etadavoca — “tisso imā, ānanda, vedanā — sukhā vedanā, dukkhā vedanā, adukkhamasukhā vedanā — imā vuccanti, ānanda, vedanā ... pe ... phassasamudayā ... pe ... khīṇāsavassa bhikkhuno rāgo paṭippassaddho hoti, doso paṭippassaddho hoti, moho paṭippassaddho hotī”ti. chaṭṭhaṃ.
그때 아난다 존자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난다 존자에게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아난다여, 무엇이 수(受)고, 무엇이 수(受)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수(受)의 소멸이고, 무엇이 수(受)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인가? 무엇이 수(受)의 매력(魅力)이고, 무엇이 위험(危險)이고, 무엇이 해방(解放)인가?”
“대덕이시여, 참으로 법들은 세존을 뿌리로 하고, 세존을 도관(導管)으로 하고, 세존을 의지합니다. 대덕이시여, 이 말씀의 의미를 세존께서 분명히 해주시면 참으로 감사하겠습니다. 비구들은 세존에게서 듣고서 명심할 것입니다.” “아난다여, 그렇다면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말할 것이다.”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아난다 존자는 세존에게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아난다여, 이런 세 가지 수(受)가 있다. ㅡ 즐거움의 경험, 괴로움의 경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의 경험 ㅡ 아난다여, 이것이 수(受)라고 불린다. 촉(觸)의 일어남으로부터 … 번뇌 다한 비구에게 탐(貪)이 진정되고, 진(嗔)이 진정되고, 치(癡)가 진정된다.
Comments
보인
2024.07.19 13:4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