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6.vedanā > aṭṭhasatapariyāya
4. pubbasuttaṃ (SN 36.24-이전 경)
3. aṭṭhasatapariyāyavaggo, 4. pubbasuttaṃ (SN 36.24-이전 경)
272. “pubbeva me, bhikkhave, sambodhā anabhisambuddhassa bodhisattasseva sato etadahosi — ‘katamā nu kho vedanā, katamo vedanāsamudayo, katamā vedanāsamudayagāminī paṭipadā, katamo vedanānirodho, katamā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ko vedanāya assādo, ko ādīnavo, kiṃ nissaraṇan’ti? tassa mayhaṃ, bhikkhave, etadahosi — ‘tisso imā vedanā — sukhā vedanā, dukkhā vedanā, adukkhamasukhā vedanā. imā vuccanti vedanā. phassasamudayā vedanāsamudayo. taṇhā vedanāsamudayagāminī paṭipadā ... pe ... yo vedanāya chandarāgavinayo chandarāgappahānaṃ. idaṃ vedanāya nissaraṇan’”ti. catutthaṃ.
“비구들이여, 깨달음 이전, 깨닫지 못한 보살이었던 나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ㅡ ‘무엇이 수(受)고, 무엇이 수(受)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수(受)의 자라남으로 이끄는 실천인가? 무엇이 수(受)의 소멸이고, 무엇이 수(受)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인가? 무엇이 수(受)의 매력(魅力)이고, 무엇이 위험(危險)이고, 무엇이 해방(解放)인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런 나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ㅡ ‘이런 세 가지 수(受)가 있다. ㅡ 즐거움의 경험, 괴로움의 경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의 경험 ㅡ 이것이 수(受)라고 불린다. 촉(觸)의 자라남으로부터 수(受)의 자라남이 있고, 갈애가 수(受)의 자라남으로 이끄는 실천이다. … 수(受)에 대한 욕탐(欲貪)의 제어와 욕탐(欲貪)의 버림, 이것이 수(受)의 해방(解放)이다.
Comments
보인
2024.05.30 13:5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