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aṭṭhasatasuttaṃ (SN 36.22-백팔 경)
3. aṭṭhasatapariyāyavaggo, 2. aṭṭhasatasuttaṃ (SN 36.22-백팔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방법에 따른 백여덟 법문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방법에 따른 백여덟 법문인가? 비구들이여, 나는 방법에 따라 두 가지 경험도 설하고, 나는 방법에 따라 세 가지 경험도 설하고, 나는 방법에 따라 다섯 가지 경험도 설하고, 나는 방법에 따라 여섯 가지 경험도 설하고, 나는 방법에 따라 열여덟 가지 경험도 설하고, 나는 방법에 따라 서른여섯 가지 경험도 설하고, 나는 방법에 따라 백여덟 가지 경험도 설했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두 가지 경험인가? 몸에 속한 것과 심(心)에 속한 것 — 비구들이여, 이것이 두 가지 경험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세 가지 경험인가? 즐거움의 경험, 괴로움의 경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의 경험 —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 가지 경험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다섯 가지 경험인가? 즐거움의 기능, 괴로움의 기능, 만족의 기능, 고뇌의 기능, 평정의 기능 — 비구들이여, 이것이 다섯 가지 경험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여섯 가지 경험인가? 안촉(眼觸)에서 생긴 경험 … 의촉(意觸)에서 생긴 경험 — 비구들이여, 이것이 여섯 가지 경험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열여덟 가지 경험인가? 여섯 가지 만족의 행보와 여섯 가지 고뇌의 행보와 여섯 가지 평정의 행보 — 비구들이여, 이것이 열여덟 가지 경험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서른여섯 가지 경험인가? 여섯 가지 세간에 연결된 만족, 여섯 가지 출리(出離)에 연결된 만족, 여섯 가지 세간에 연결된 고뇌, 여섯 가지 출리(出離)에 연결된 고뇌, 여섯 가지 세간에 연결된 평정, 여섯 가지 출리(出離)에 연결된 평정 — 비구들이여, 이것이 서른여섯 가지 경험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백여덟 가지 경험인가? 과거의 서른여섯 가지 경험, 미래의 서른여섯 가지 경험, 현재의 서른여섯 가지 경험 — 비구들이여, 이것이 백여덟 가지 경험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방법에 따른 백여덟 법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