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6.vedanā > sagāthā
2. sukhasuttaṃ (SN 36.2-즐거움 경)
1. sagāthāvaggo, 2. sukhasuttaṃ (SN 36.2-즐거움 경)
250. “tisso imā, bhikkhave, vedanā. katamā tisso? sukhā vedanā, dukkhā vedanā, adukkhamasukhā vedanā — imā kho, bhikkhave, tisso vedanāti.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느낌[경험]이 있다. 어떤 셋인가? 즐거운 느낌[즐거움의 경험], 괴로운 느낌[괴로움의 경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의 경험] ㅡ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느낌[경험]이 있다.
“sukhaṃ vā yadi vā dukkhaṃ, adukkhamasukhaṃ saha.
ajjhattañca bahiddhā ca, yaṃ kiñci atthi veditaṃ.
만약 안과 밖에 어떤 것이 있다 해도
즐거움이든 괴로움이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이든 그것은 느껴진[경험된] 것이다.
“etaṃ dukkhanti ñatvāna, mosadhammaṃ palokinaṃ.
phussa phussa vayaṃ passaṃ, evaṃ tattha virajjatī”ti. dutiyaṃ.
‘거짓된 것이고 파괴되도록 정해진 그것은 괴로움이다.’라도 안 뒤에
거듭거듭 닿을 때마다 사라짐을 보는 자에게 그렇게 거기서 바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