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8.jambukhādaka
10. taṇhāpañhāsuttaṃ (SN 38.10-갈애에 대한 질문 경)
4. jambukhādakasaṃyuttaṃ, 10. taṇhāpañhāsuttaṃ (SN 38.10-갈애에 대한 질문 경)
323. “‘taṇhā, taṇhā’ti, āvuso sāriputta, vuccati. katamā nu kho, āvuso, taṇhā”ti? “tisso imā, āvuso, taṇhā.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 imā kho, āvuso, tisso taṇhā”ti. “atthi panāvuso, maggo atthi paṭipadā, etāsaṃ taṇhānaṃ pahānāyā”ti? “atthi kho, āvuso, maggo atthi paṭipadā, etāsaṃ taṇhānaṃ pahānāyā”ti. “katamo panāvuso, maggo katamā paṭipadā, etāsaṃ taṇhānaṃ pahānāyā”ti? “ayameva kho, āvuso,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etāsaṃ taṇhānaṃ pahānāya,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ṃ kho, āvuso, maggo ayaṃ paṭipadā, etāsaṃ taṇhānaṃ pahānāyā”ti. “bhaddako, āvuso, maggo bhaddikā paṭipadā, etāsaṃ taṇhānaṃ pahānāya. alañca panāvuso sāriputta, appamādāyā”ti. dasamaṃ.
“도반 사리뿟따여, ‘갈애, 갈애’라고 불립니다. 도반이여, 무엇이 갈애입니까?” “도반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가 있습니다. 소유의 갈애, 존재의 갈애, 비존재의 갈애 ― 도반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가 있습니다.” “그러면 도반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를 버리기 위한 길이 있고 실천이 있습니까?” “도반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를 버리기 위한 길이 있고 실천이 있습니다.” “그러면 도반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를 버리기 위한 어떤 길이 있고 어떤 실천이 있습니까?” “도반이여, 오직 이것, 바른 견해-바른 사유-바른말-바른 행위-바른 생활-바른 노력-바른 사띠-바른 삼매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이 이런 세 가지 갈애를 버리기 위한 길입니다. 도반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를 버리기 위해 이것이 길이고 이것이 실천입니다.” “도반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를 버리기 위한 멋진 길이고 멋진 실천입니다. 그러니 도반 사리뿟따여, 불방일을 위해 충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