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40.moggallāna
7. ākiñcaññāyatanapañhāsuttaṃ (SN 40.7-무소유처 질문 경)
6. moggallānasaṃyuttaṃ, 7. ākiñcaññāyatanapañhāsuttaṃ (SN 40.7-무소유처 질문 경)
338. “‘ākiñcaññāyatanaṃ, ākiñcaññāyatanan’ti vuccati. katamaṃ nu kho ākiñcaññāyatananti? tassa mayhaṃ, āvuso, etadahosi — ‘idha bhikkhu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idaṃ vuccati ākiñcaññāyatanan’ti. so khvāhaṃ, āvuso,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i. tassa mayhaṃ, āvuso, iminā vihārena viharato viññāṇañcāyatan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무소유처(無所有處), 무소유처’라고 불린다. 참으로 무소유처는 어떤 것인가?’ 그런 나에게,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식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아무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이것이 무소유처라고 불린다.’라는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그런 나는, 도반들이여, 식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아무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물렀습니다. 그렇게 이런 머묾으로 머무는 나에게, 도반들이여, 식무변처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생겨났습니다.
“atha kho maṃ, āvuso, bhagavā iddhiyā upasaṅkamitvā etadavoca — ‘moggallāna, moggallāna! mā, brāhmaṇa, ākiñcaññāyatanaṃ pamādo, ākiñcaññāyatane cittaṃ saṇṭhapehi, ākiñcaññāyatane cittaṃ ekodiṃ karohi, ākiñcaññāyatane cittaṃ samādahā’ti. so khvāhaṃ, āvuso, aparena samayena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āsiṃ. yañhi taṃ, āvuso, sammā vadamāno vadeyya ... pe ... mahābhiññataṃ patto”ti. sattamaṃ.
그때, 도반들이여, 세존께서 신통으로 나에게 오신 뒤에 ‘목갈라나여, 목갈라나여! 바라문이여, 무소유처에서 방일하지 말라. 심(心)을 무소유처에 자리 잡게 하고, 심을 무소유처에 집중하고, 심을 무소유처에서 삼매에 들게 하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 나는, 도반들이여, 나중에 식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아무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물렀습니다. 도반들이여, 바르게 말하는 사람이 ‘스승의 도움을 받아 큰 실다운 지혜를 성취한 제자’라고 말한다면, 나에게 그것을 말해야 합니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