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avijjā
1. avijjāsuttaṃ (SN 45.1-무명(無明) 경)
1. avijjāvaggo, 1. avijjāsuttaṃ (SN 45.1-무명 경)
1.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이렇게 나는 들었다. ㅡ 한때 세존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물렀다. 거기서 세존은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불렀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에게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avijjā, bhikkhave, pubbaṅgamā akusalānaṃ dhammānaṃ samāpattiyā, anvadeva ahirikaṃ anottappaṃ. avijjāgatassa, bhikkhave, aviddasuno micchādiṭṭhi pahoti; micchādiṭṭhissa micchāsaṅkappo pahoti; micchāsaṅkappassa micchāvācā pahoti; micchāvācassa micchākammanto pahoti; micchākammantassa micchāājīvo pahoti; micchāājīvassa micchāvāyāmo pahoti; micchāvāyāmassa micchāsati pahoti; micchāsatissa micchāsamādhi pahoti.
“비구들이여, 불선법(不善法)들을 얻을 때에는 무명(無明)이 앞서고, 히리 없음과 옷땁빠 없음이 뒤따른다. 비구들이여, 무명이 스민 어리석은 자에게 삿된 견해가 생긴다. 삿된 견해를 가진 자에게 삿된 사유가 생기고, 삿된 사유를 하는 자에게 삿된 말이 생기고, 삿된 말을 하는 자에게 삿된 행위가 생기고, 삿된 행위를 하는 자에게 삿된 생활이 생기고, 삿된 생활을 하는 자에게 삿된 정진이 생기고, 삿된 정진을 하는 자에게 삿된 사띠가 생기고, 삿된 사띠를 하는 자에게 삿된 삼매가 생긴다.
“vijjā ca kho, bhikkhave, pubbaṅgamā kusalānaṃ dhammānaṃ samāpattiyā, anvadeva hirottappaṃ. vijjāgatassa, bhikkhave, viddasuno sammādiṭṭhi pahoti; sammādiṭṭhissa sammāsaṅkappo pahoti; sammāsaṅkappassa sammāvācā pahoti; sammāvācassa sammākammanto pahoti; sammākammantassa sammāājīvo pahoti; sammāājīvassa sammāvāyāmo pahoti; sammāvāyāmassa sammāsati pahoti; sammāsatissa sammāsamādhi pahotī”ti. paṭhamaṃ.
“비구들이여, 선법(善法)들을 얻을 때에는 명(明)이 앞서고, 히리와 옷땁빠가 뒤따른다. 비구들이여, 명이 스민 현명한 자에게 바른 견해가 생긴다. 바른 견해를 가진 자에게 바른 사유가 생기고, 바른 사유를 하는 자에게 바른 말이 생기고, 바른 말을 하는 자에게 바른 행위가 생기고, 바른 행위를 하는 자에게 바른 생활이 생기고, 바른 생활을 하는 자에게 바른 정진이 생기고, 바른 정진을 하는 자에게 바른 사띠가 생기고, 바른 사띠를 하는 자에게 바른 삼매가 생긴다.
Comments
대원행
2022.06.08 22:59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111 참조 불교입문(1-소유) 제4부 제3장 히리 옷땁빠를 포함한 경들의 전개 1)[히리 옷땁빠의 용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