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avijjā
7. dutiyāññatarabhikkhusuttaṃ (SN 45.7-어떤 비구 경2)
7. dutiyāññatarabhikkhusuttaṃ (SN 45.7-어떤 비구 경2)
sāvatthinidānaṃ. atha kho aññataro bhikkhu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 pe ... ekamantaṃ nisinno kho so bhikkhu bhagavantaṃ etadavoca —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어떤 비구가 세존께 다가갔다. …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ㅡ
“‘rāgavinayo dosavinayo mohavinayo’ti, bhante, vuccati. kissa nu kho etaṃ, bhante, adhivacanaṃ — ‘rāgavinayo dosavinayo mohavinayo’”ti? “nibbānadhātuyā kho etaṃ, bhikkhu, adhivacanaṃ — ‘rāgavinayo dosavinayo mohavinayo’ti. āsavānaṃ khayo tena vuccatī”ti.
“대덕이시여, ‘탐(貪)의 제어, 진(嗔)의 제어, 치(癡)의 제어’라고 불립니다. 대덕이시여, ‘탐(貪)의 제어, 진(嗔)의 제어, 치(癡)의 제어’라는 이 말은 무엇을 위한 것입니까?” “비구여, ‘탐(貪)의 제어, 진(嗔)의 제어, 치(癡)의 제어’라는 이 말은 열반의 요소를 위한 것이다. 그것에 의해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고 불린다.”
evaṃ vutte so bhikkhu bhagavantaṃ etadavoca — “‘amataṃ, amatan’ti, bhante, vuccati. katamaṃ nu kho, bhante, amataṃ, katamo amatagāmimaggo”ti? “yo kho, bhikkhu, rāgakkhayo dosakkhayo mohakkhayo — idaṃ vuccati amataṃ.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amatagāmi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ī”ti.
이렇게 말씀하시자 그 비구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ㅡ “대덕이시여, ‘불사(不死), 불사(不死)’라고 불립니다. 대덕이시여, 무엇이 불사(不死)이고, 무엇이 불사로 이끄는 길입니까?” “비구여, 탐(貪)이 부서지고, 진(嗔)이 부서지고, 치(癡)가 부서진 것. ㅡ 이것이 불사라고 불린다. 오직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가 불사로 이끄는 길이니 정견(正見) … 정정(正定)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