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vihāra
1. paṭhamavihārasuttaṃ (SN 45.11-머묾 경1)
2. vihāravaggo, 1. paṭhamavihārasuttaṃ (SN 45.11-머묾 경1)
11. sāvatthinidānaṃ. “icchāmahaṃ, bhikkhave, aḍḍhamāsaṃ paṭisalliyituṃ. namhi kenaci upasaṅkamitabbo, aññatra ekena piṇḍapātanīhārakenā”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vato paṭissutvā nāssudha koci bhagavantaṃ upasaṅkamati, aññatra ekena piṇḍapātanīhārakena.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나는 반 달 동안 홀로 머물기를 원하니 한 끼의 탁발 음식을 날라주는 것 외에는 아무도 오지 않아야 한다.”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에게 대답한 뒤 한 끼의 탁발 음식을 날라주는 것 외에는 아무도 세존에게 가지 않았다.
atha kho bhagavā tassa aḍḍhamāsassa accayena paṭisallānā vuṭṭhito bhikkhū āmantesi — “yena svāhaṃ, bhikkhave, vihārena paṭhamābhisambuddho viharāmi, tassa padesena vihāsiṃ. so evaṃ pajānāmi — ‘micchādiṭṭhipaccayāpi vedayitaṃ; sammādiṭṭhipaccayāpi vedayitaṃ ... pe ... micchāsamādhipaccayāpi vedayitaṃ; sammāsamādhipaccayāpi vedayitaṃ; chandapaccayāpi vedayitaṃ; vitakkapaccayāpi vedayitaṃ; saññāpaccayāpi vedayitaṃ; chando ca avūpasanto hoti, vitakko ca avūpasanto hoti, saññā ca avūpasantā hoti, tappaccayāpi vedayitaṃ; chando ca vūpasanto hoti, vitakko ca vūpasanto hoti, saññā ca vūpasantā hoti, tappaccayāpi vedayitaṃ; appattassa pattiyā atthi āyāmaṃ, tasmimpi ṭhāne anuppatte tappaccayāpi vedayitan’”ti. paṭhamaṃ.
그러자 그 반 달이 지나서 홀로 머묾에서 나온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말했다. ― “비구들이여, 바야흐로 깨달음을 성취했을 때 내가 머물렀던 머묾의 영역으로 나는 머물렀다. 나는 이렇게 꿰뚫어 안다. ― 삿된 견해를 조건으로도 느낌[경험된 것]이 있고, 바른 견해를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다. … 삿된 삼매를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고, 바른 삼매를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다. 관심을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고, 위딱까를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고, 상(想)을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다. 가라앉지 않은 관심이 있고, 가라앉지 않은 위딱까가 있고, 가라앉지 않은 상(想)이 있다. 그것들을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다. 가라앉은 관심이 있고, 가라앉은 위딱까가 있고, 가라앉은 상(想)이 있다. 그것들을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다.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기 위한 노력이 있고, 그 경지에 도달했을 때 그것을 조건으로도 느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