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micchatta
10. uttiyasuttaṃ (SN 45.30-웃띠야 경)
10. uttiyasuttaṃ (SN 45.30-웃띠야 경)
sāvatthinidānaṃ. atha kho āyasmā uttiy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 pe ... ekamantaṃ nisinno kho āyasmā uttiyo bhagavantaṃ etadavoca — “idha mayhaṃ, bhante, rahogatassa paṭisallīnassa evaṃ cetaso parivitakko udapādi — ‘pañca kāmaguṇā vuttā bhagavatā. katame nu kho pañca kāmaguṇā vuttā bhagavatā’”ti? “sādhu sādhu, uttiya! pañcime kho, uttiya, kāmaguṇā vuttā mayā. katame pañc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sotaviññeyyā saddā ... pe ... ghānaviññeyyā gandhā... jivhāviññeyyā rasā... kāyaviññeyyā phoṭṭhabb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 ime kho, uttiya, pañca kāmaguṇā vuttā mayā. imesaṃ kho, uttiya, pañcannaṃ kāmaguṇānaṃ pahānāy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bhāvetabbo. katamo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imesaṃ kho, uttiya, pañcannaṃ kāmaguṇānaṃ pahānāya ayaṃ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bhāvetabbo”ti.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웃띠야 존자가 세존에게 왔다. … 한 곁에 앉은 웃띠야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ㅡ “대덕이시여, 여기 외딴 곳에서 홀로 머물 때에 저에게 이런 위딱까가 일어났습니다. ㅡ ‘세존으로부터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이 설해졌다. 무엇이 세존으로부터 설해진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인가?’” “장하고 장하다, 웃띠야여! 웃띠야여,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이 나로부터 설해졌다. 무엇이 다섯인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탐(貪)하기 마련인안(眼)으로 인식되는 색(色)들, … 설(舌)로 인식되는 미(味)들, …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들고 사랑스럽고 소유의 사유를 수반하며 탐(貪)하기 마련인신(身)으로 인식되는 촉(觸)들 ㅡ 웃띠야여, 이것이 나로부터 설해진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이다. 웃띠야여, 이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을 버리기 위해서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를 닦아야 한다. 무엇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인가? 정견(正見) … 정정(正定)이다. 웃띠야여, 이 다섯 가닥의 소유적 사유의 대상을 버리기 위해서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를 닦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