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aññatitthiyapeyyāla
2-7. saṃyojanappahānādisuttachakkaṃ (SN 45.42-족쇄의 버림 등 경 여섯 개)
2-7. saṃyojanappahānādisuttachakkaṃ (SN 45.42-족쇄의 버림 등 경 여섯 개)
“sace vo, bhikkhave, aññatitthiyā paribbājakā evaṃ puccheyyuṃ — ‘kimatthiyaṃ, āvuso, samaṇe gotame brahmacariyaṃ vussatī’ti, evaṃ puṭṭhā tumhe, bhikkhave, tesaṃ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evaṃ byākareyyātha — ‘saṃyojanappahānatthaṃ kho, āvuso,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 pe ... ‘anusayasamugghātanatthaṃ kho, āvuso,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 pe ... ‘addhānapariññatthaṃ kho, āvuso,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 pe ... ‘āsavānaṃ khayatthaṃ kho, āvuso,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 pe ... ‘vijjāvimuttiphalasacchikiriyatthaṃ kho, āvuso,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 pe ... ‘ñāṇadassanatthaṃ kho, āvuso, bhagavati brahmacariyaṃ vussatī’ti ... pe ....
“만약, 비구들이여, 외도 유행승들이 그대들에게 ‘어떤 목적 때문에 사문 고따마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까?’라고 물으면, 이런 질문을 받은 그대들은, 비구들이여, 그 외도 유행승들에게 이렇게 설명해야 한다. — ‘도반들이여, ②족쇄의 버림을 목적으로 세존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다.’라고. … ‘③잠재성향의 뿌리 뽑음을 목적으로 세존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다.’라고. … ‘④경로에 대한 완전한 지혜를 목적으로 세존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다.’라고. … ‘⑤번뇌들의 부서짐을 목적으로 세존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다.’라고. … ‘⑥명(明)과 해탈(解脫)의 결실의 실현을 목적으로 세존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다.’라고. … ‘⑦지(知)와 견(見)을 목적으로 세존에게서 범행(梵行)의 삶을 삽니다.’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