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esanā
10. taṇhāsuttaṃ (SN 45.170-애(愛) 경)
10. taṇhāsuttaṃ (SN 45.170-애(愛) 경)
“tisso imā, bhikkhave, taṇhā. katamā tisso?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 imā kho, bhikkhave, tisso taṇhā. imāsaṃ kho, bhikkhave, tissannaṃ taṇhānaṃ abhiññāya pariññāya parikkhayāya pahānāya ... pe ... ayaṃ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bhāvetabbo. katamo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idha, bhikkhave, bhikkhu sammādiṭṭhi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 pe ... sammāsamādhi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imāsaṃ kho, bhikkhave, tissannaṃ taṇhānaṃ abhiññāya pariññāya parikkhayāya pahānāya ... pe ... ayaṃ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bhāvetabbo”ti.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애(愛)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욕애(慾愛), 유애(有愛), 무유애(無有愛) —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애(愛)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애의 실다운 지혜를 위해, 완전한 지혜를 위해, 완전한 부숨을 위해, 버림을 위해서 …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를 닦아야 한다. 무엇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침의 과정이고, 바램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정견(正見)을 닦는다. … 떨침의 과정이고, 바램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정정(正定)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애의 실다운 지혜를 위해, 완전한 지혜를 위해, 완전한 부숨을 위해, 버림을 위해서 …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를 닦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