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aṭhamakusalasuttaṃ (SN 46.31-유익(有益) 경1)
4. nīvaraṇavaggo, 1. paṭhamakusalasuttaṃ (SN 46.31-유익(有益) 경1)
212. “ye keci, bhikkhave, dhammā kusalā kusalabhāgiyā kusalapakkhikā, sabbe te appamādamūlakā appamādasamosaraṇā; appamādo tesaṃ dhammānaṃ aggamakkhāyati. appamattassetaṃ, bhikkhave, bhikkhuno pāṭikaṅkhaṃ — satta bojjhaṅge bhāvessati, satta bojjhaṅge bahulīkarissati.
비구들이여, 어떤 것이든 유익(有益)하고 유익에 연결되고 유익의 편에 있는 법들은 모두 불방일(不放逸)을 뿌리로 하고 불방일로 모인다. 불방일이 그 법들 가운데 으뜸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불방일한 비구에게 ‘칠각지(七覺支)를 닦을 것이다. 칠각지를 많이 행할 것이다.’라는 것이 기대된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appamatto satta bojjhaṅge bhāveti, satta bojjhaṅge bahulīkaroti? idha, bhikkhave, bhikkhu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 pe ...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appamatto satta bojjhaṅge bhāveti, satta bojjhaṅge bahulīkarotī”ti. paṭhamaṃ.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불방일(不放逸)한 비구는 칠각지를 닦고 칠각지를 많이 행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떨침을 부대(附帶)하고, …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 떨침을 부대하고, 이탐(離貪)을 부대하고, 소멸(消滅)을 부대하고, 놓음으로 귀결되는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불방일(不放逸)한 비구는 칠각지를 닦고 칠각지를 많이 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