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ānāpāna
ānāpānavaggo, yogakkhemasuttaṃ (SN 46.57-유가안온 경) (4)
7. ānāpānavaggo, yogakkhemasuttaṃ (SN 46.57-유가안온 경) (4)
“aṭṭhikasaññā, bhikkhave, bhāvitā bahulīkatā mahato yogakkhemāya saṃvattati. kathaṃ bhāvitā ca, bhikkhave, aṭṭhikasaññā kathaṃ bahulīkatā mahato yogakkhemāya saṃvattati? idha, bhikkhave, bhikkhu aṭṭhikasaññāsahagataṃ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 pe ... aṭṭhikasaññāsahagataṃ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evaṃ bhāvitā kho, bhikkhave, aṭṭhikasaññā evaṃ bahulīkatā mahato yogakkhemāya saṃvattatī”ti.
비구들이여, 해골의 상(想)을 닦고 많이 행할 때 큰 유가안온(瑜伽安穩)으로 이끈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해골의 상(想)을 어떻게 닦고 어떻게 많이 행할 때 큰 유가안온으로 이끄는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해골의 상(想)이 함께한 염각지(念覺支)를 닦는다 …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쉼으로 귀결되는 해골의 상(想)이 함께한 사각지(捨覺支)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해골의 상(想)을 이렇게 닦고 이렇게 많이 행할 때 큰 유가안온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