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sīlaṭṭhiti
6. padesasuttaṃn (SN 47.26-부분 경)
6. padesasuttaṃ (SN 47.26-부분 경)
392. ekaṃ samayaṃ āyasmā ca sāriputto āyasmā ca mahāmoggallāno āyasmā ca anuruddho sākete viharanti kaṇḍakīvane. atha kho āyasmā ca sāriputto āyasmā ca mahāmoggallāno sāyanhasamayaṃ paṭisallānā vuṭṭhitā yenāyasmā aniruddho tenupasaṅkamiṃsu; upasaṅkamitvā āyasmatā anuruddhena saddhiṃ sammodiṃsu.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o kho āyasmā sāriputto āyasmantaṃ anuruddhaṃ etadavoca — “‘sekho, sekho’ti, āvuso anuruddha, vuccati. kittāvatā nu kho, āvuso, sekho hotī”ti? “catunnaṃ kho, āvuso, satipaṭṭhānānaṃ padesaṃ bhāvitattā sekho hoti”.
한때 사리뿟따 존자와 마하목갈라나 존자와 아누룻다 존자가 사께따에서 깐다끼 숲에 머물렀다. 그때 저녁에 홀로 머묾에서 나온 사리뿟따 존자와 마하목갈라나 존자가 아누룻다 존자에게 왔다. 와서는 아누룻다 존자와 함께 인사를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만한 이야기를 주고받은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사리뿟따 존자는 아누룻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 “도반 아누룻다여, ‘유학(有學), 유학(有學)’이라고 불립니다. 도반이여, 어떤 점에서 유학(有學)입니까?” “도반이여, 사념처를 일부분만 닦았을 때 유학(有學)입니다.
“katamesaṃ catunnaṃ? idhāvuso,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imesaṃ kho, āvuso, catunnaṃ satipaṭṭhānānaṃ padesaṃ bhāvitattā sekho hotī”ti.
어떤 네 가지입니까? 여기 도반이여, 비구는 신(身)을 이어 보면서 신에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수(受)를 … 심(心)을 … 법(法)을 이어 보면서 법(法)에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참으로 도반이여, 이런 사념처를 일부분만 닦았을 때 유학(有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