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ananussuta
2. virāgasuttaṃ (SN 47.32-이탐(離貪) 경)
4. ananussutavaggo, 2. virāgasuttaṃ (SN 47.32-이탐(離貪) 경)
398. “cattārome, bhikkhave, satipaṭṭhānā bhāvitā bahulīkatā ekanta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nti.
비구들이여, 이 사념처(四念處)를 닦고 많이 행할 때 확실한 염오(厭惡)로, 이탐(離貪)으로, 소멸(消滅)로,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涅槃)으로 이끈다.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ime kho, bhikkhave,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itā bahulīkatā ekanta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ntī”ti.
어떤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신(身)을 이어 보면서 신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수(受)를 … 심(心)을 … 법(法)을 이어 보면서 법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비구들이여, 이 사념처를 닦고 많이 행할 때 확실한 염오로, 이탐으로, 소멸로,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