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amata
1. amatasuttaṃ(SN 47.41-불사(不死) 경)
5. amatavaggo, 1. amatasuttaṃ(SN 47.41-불사(不死) 경)
407. sāvatthinidānaṃ. “catūsu, bhikkhave,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ā viharatha. mā vo amataṃ panassa. katamesu catūsu?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imesu, bhikkhave,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ā viharatha. mā vo amataṃ panassā”ti.
사왓티에서. “비구들이여, 사념처에 잘 확립된 심(心)을 가진 자로 머물러야 한다. 그대들은 불사(不死)를 잃지 말라. 어떤 네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신(身)을 이어 보면서 신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수(受)를 … 심(心)을 … 법(法)을 이어 보면서 법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사념처에 잘 확립된 심(心)을 가진 자로 머물러야 한다. 그대들은 불사(不死)를 잃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