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amata
4. satisuttaṃ (SN 47.44-사띠 경)
5. amatavaggo, 4. satisuttaṃ (SN 47.44-사띠 경)
410.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t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vedan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citte citt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to hoti. sato, bhikkhave, bhikkhu vihareyy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catutthaṃ.
비구들이여, 비구는 사띠를 가진 자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그대들을 위한 우리의 이어지는 가르침(가르침의 근본)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사띠를 가진 자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몸(身)에서 몸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느낌(受)들에서 느낌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마음(心)에서 마음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법(法)들에서 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비구는 사띠를 가진 자이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사띠를 가진 자로 머물러야 한다. 이것이 그대들을 위한 우리의 이어지는 가르침(가르침의 근본)이다.
Comments
대원행
2022.12.12 21:59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1&wr_id=79 참조 (수행경전 특강 1. 이어지는 가르침의 자리매김[념-정지]
보인
2022.12.13 08:40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