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amata
9. vedanāsuttaṃ (SN 47.49-경험 경)
5. amatavaggo, 9. vedanāsuttaṃ (SN 47.49-경험 경)
415. “tisso imā, bhikkhave, vedanā. katamā tisso? sukhā vedanā, dukkhā vedanā, adukkhamasukhā vedanā — imā kho, bhikkhave, tisso vedanā. imāsaṃ kho, bhikkhave, tissannaṃ vedanānaṃ pariññāya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경험이 있다. 어떤 세 가지인가? 즐거운 느낌의 경험, 괴로운 느낌의 경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의 경험 —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경험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경험을 완전히 알기 위해 사념처를 닦아야 한다.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imāsaṃ kho, bhikkhave, tissannaṃ vedanānaṃ pariññāya ime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etabbā”ti.
어떤 네 가지인가? 여기 비구여, 그대는 신(身)을 이어 보면서 신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수(受)를 … 심(心)을 … 법(法)을 이어 보면서 법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경험을 완전히 알기 위해 이런 사념처를 닦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