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ogha
1-10. uddhambhāgiyādisuttadasakaṃ (SN 47.55)
10. oghavaggo, 1-10. uddhambhāgiyādisuttadasakaṃ (SN 47.55)
“pañcimāni, bhikkhave, uddhambhāgiyāni saṃyojanāni. katamāni pañca? rūparāgo, arūparāgo, māno, uddhaccaṃ, avijjā — imāni kho, bhikkhave, pañcuddhambhāgiyāni saṃyojanāni.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uddhambhāgiyānaṃ saṃyojanānaṃ abhiññāya pariññāya parikkhayāya pahānāya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이런 오상분결(五上分結)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색탐(色貪), 무색탐(無色貪), 자기화, 들뜸, 무명(無明)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오상분결(五上分結)이다. 비구들이여, 이 오상분결(五上分結)의 실다운 지혜를 위해, 완전한 지혜를 위해, 완전한 부숨을 위해, 버림을 위해서 사념처(四念處)를 닦아야 한다.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uddhambhāgiyānaṃ saṃyojanānaṃ abhiññāya pariññāya parikkhayāya pahānāya ime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etabbā”ti.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신(身)]에서 몸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경험[수(受)]에서 … 마음[심(心)]에서 … 법(法)에서 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비구들이여, 이 오상분결(五上分結)의 수승한 지혜를 위해, 완전한 지혜를 위해, 완전한 부숨을 위해, 버림을 위해서 이 사념처(四念處)를 닦아야 한다.
(yathā maggasaṃyuttaṃ tathā satipaṭṭhānasaṃyuttaṃ vitthāretabbaṃ).
(도(道) 상윳따처럼 염처 상윳따를 펼쳐야함)
• tassuddānaṃ — ogho yogo upādānaṃ, ganthā anusayena ca. kāmaguṇā nīvaraṇā, khandhā oruddhambhāgiyānīti.
목록 ㅡ 폭류, 속박, 집착, 매듭, 잠재성향, 소유적 사유의 대상, 장애, 온(蘊), 하분결(下分結), 상분결(上分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