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paṭhamavibhaṅgasuttaṃ (SN 48.9-분석 경1)
1. suddhikavaggo, 9. paṭhamavibhaṅgasuttaṃ (SN 48.9-분석 경1)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이런 기능이 있다. 어떤 다섯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이다[신(信)-정진(精進)-염(念)-정(定)혜(慧)]. 비구들이여, 무엇이 믿음의 기능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믿음을 가졌다. ‘이렇게 그분 세존(世尊)께서는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 밝음과 실천을 갖추신 분, 진리의 길 보이신 분, 세상일을 모두 훤히 아시는 분, 어리석은 이도 잘 이끄시는 위없는 분, 모든 천상과 인간의 스승, 깨달으신 분, 존귀하신 분이시다.’라고 여래(如來)의 깨달음을 믿는다. ㅡ 이것이, 비구들이여, 믿음의 기능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정진의 기능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불선법(不善法)들의 버림을 위해, 선법(善法)들의 성취를 위해 열심히 정진하면서 머문다. 선법들에 대해 열정적이고 책임을 포기하지 않는 강한 자이다. ㅡ 이것이, 비구들이여, 정진의 기능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사띠의 기능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사띠를 가졌다. 최상의 사띠와 신중함을 갖추어 오래 전에 행한 것에게도, 오래 전에 말한 것에게도 다가가서 기억한다. ㅡ 이것이, 비구들이여, 사띠의 기능이라고 불린다.
• vossagga: relinquishing, relaxation; handing over, donation, gift (m.)
• relinquishing 양도. 넘겨줌. 포기. 쥔 손을 늦춤. 손을 놓음
• relaxation (즐거운 일을 하면서 취하는) 휴식
비구들이여, 무엇이 삼매의 기능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대상의 양도를 행한 뒤에[또는 대상에서 쉬면서] 삼매를 얻는다. 심(心)의 집중상태를 얻는다. ㅡ 이것이 비구들이여, 삼매의 기능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지혜의 기능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지혜를 가졌다. 자라남-줄어듦으로 이끌고, 성스러운 꿰뚫음에 의해 괴로움의 부서짐으로 바르게 이끄는 지혜를 갖추었다. ㅡ 이것이 비구들이여, 지혜의 기능이라고 불린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