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sahampatibrahmasuttaṃ (SN 48.57-사함빠띠 범천 경)
6. sūkarakhatavaggo, 7. sahampatibrahmasuttaṃ (SN 48.57-사함빠띠 범천 경)
한때, 바야흐로 깨달음을 성취한 세존은 우루웰라에서 네란자라 강변 아자빨라니그로다 나무에 머물렀다. 그때 외딴곳에 홀로 머무는 세존에게 이런 심(心)의 온전한 생각이 떠올랐다. ― “다섯 가지 기능[오근(五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한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믿음의 기능[신근(信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한다. 노력의 기능[정진근(精進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한다. 사띠의 기능[염근(念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한다. 삼매의 기능[정근(定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한다. 지혜의 기능[혜근(慧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한다. 이런 다섯 가지 기능[오근(五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한다.”라고.
그때 사함빠띠 범천이 세존의 심(心)으로부터 심(心)의 온전한 생각을 안 뒤에 — 예를 들면 힘센 사람이 접은 팔을 펴거나 편 팔을 접을 것이다. 이렇게 — 범천의 세상에서 사라져 세존의 앞에 나타났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사함빠띠 범천은 한쪽 어깨가 드러나게 윗 가사를 입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합장하여 나에게 인사한 뒤에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렇습니다, 선서시여! 다섯 가지 기능[오근(五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합니다. 어떤 다섯 가지입니까? 믿음의 기능[신근(信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합니다. 노력의 기능[정진근(精進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합니다. 사띠의 기능[염근(念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합니다. 삼매의 기능[정근(定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합니다. 지혜의 기능[혜근(慧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합니다. 이런 다섯 가지 기능[오근(五根)]을 닦고 많이 행할 때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不死)를 지지하고, 불사(不死)를 완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