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rahogata
7. taṇhakkhayasuttaṃ (SN 52.7-애(愛)의 부서짐 경)
1. rahogatavaggo, 7. taṇhakkhayasuttaṃ (SN 52.7-애(愛)의 부서짐 경)
905. sāvatthinidānaṃ. tatra kho āyasmā anuruddho bhikkhū āmantesi — “āvuso bhikkhavo”ti. “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anuruddhassa paccassosuṃ. āyasmā anuruddho etadavoca —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아누룻다 존자가 “도반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불렀다. “도반이여”라고 그 비구들은 아누룻다 존자에게 대답했다. 아누룻다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
“cattārome, āvuso, satipaṭṭhānā bhāvitā bahulīkatā taṇhakkhayāya saṃvattanti. katame cattāro? idhāvuso,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 pe ...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 ime kho, āvuso,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itā bahulīkatā taṇhakkhayāya saṃvattantī”ti. sattamaṃ.
“도반들이여, 사념처를 닦고 많이 행하면 애(愛)의 부서짐으로 이끕니다. 어떤 네 가지입니까?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몸에서 몸을 이어보면서 머뭅니다 … 느낌들에서 … 마음에서 … 법들에서 법을 이어보면서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 도반들이여, 이런 사념처를 닦고 많이 행하면 애(愛)의 부서짐으로 이끕니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