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veḷudvāra
9. dutiyagiñjakāvasathasuttaṃ (SN 55.9-벽돌집 경2)
1. veḷudvāravaggo, 9. dutiyagiñjakāvasathasuttaṃ (SN 55.9-벽돌집 경2)
1005. ekamantaṃ nisinno kho āyasmā ānando bhagavantaṃ etadavoca — “asoko nāma, bhante, bhikkhu kālaṅkato; tassa kā gati, ko abhisamparāyo? asokā nāma, bhante, bhikkhunī kālaṅkatā ... pe ... asoko nāma, bhante, upāsako kālaṅkato ... pe ... asokā nāma, bhante, upāsikā kālaṅkatā; tassā kā gati, ko abhisamparāyo””ti?
한 곁에 앉은 아난다 존자는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대덕이시여, 아소까 비구가 죽었습니다. 그의 갈 곳은 어디이고, 내세의 태어남은 어디입니까? 대덕이시여, 아소까 비구니가 죽었습니다. 그의 갈 곳은 어디이고, 내세의 태어남은 어디입니까? 대덕이시여, 아소까 남신자가 죽었습니다. 그의 갈 곳은 어디이고, 내세의 태어남은 어디입니까? 대덕이시여, 아소까 여신자(女信者)가 죽었습니다. 그의 갈 곳은 어디이고, 내세의 태어남은 어디입니까?”
“asoko, ānanda, bhikkhu kālaṅkato āsavānaṃ khayā anāsavaṃ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āsi ... pe ... (purimaveyyākaraṇena ekanidānaṃ).
“아난다여, 죽은 아소까 비구는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물렀다[아라한(阿羅漢)]. …
“ayaṃ kho so, ānanda, dhammādāso dhammapariyāyo; yena samannāgato ariyasāvako ākaṅkhamāno attanāva attānaṃ byākareyya — ‘khīṇanirayomhi khīṇatiracchānayoni khīṇapettivisayo khīṇāpāyaduggativinipāto, sotāpannohamasmi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 navamaṃ.
아난다여, 이것이 법의 거울[법경(法鏡)]이라고 불리는 법문이어서 이것을 갖춘 성스러운 제자는 원할 때면 오직 자신에 의해 자신을 설명할 수 있다. ― ‘나에게 지옥은 다했고 축생의 모태는 다했고 아귀의 영역은 다했고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는 다했다. 나는 예류자(預流者)여서 떨어지지 않는 자, 확실한 자, 깨달음을 겨냥한 자이다.’라고.
Comments
보인
2020.01.12 16:5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