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puññābhisanda
3. tatiyapuññābhisandasuttaṃ (SN 55.33-공덕을 쌓음 경3)
4. puññābhisandavaggo, 3. tatiyapuññābhisandasuttaṃ (SN 55.33-공덕을 쌓음 경3)
1029. “cattārome, bhikkhave, puññābhisandā kusalābhisandā sukhassāhārā.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ariyasāvako budd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 itipi so bhagavā ... pe ... satthā devamanussānaṃ buddho bhagavāti. ayaṃ paṭhamo puññābhisando kusalābhisando sukhassāhāro.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공덕(功德)을 쌓고, 유익(有益)을 쌓고, 행복(幸福)의 자량(資糧)이 되는 것이 있다. 어떤 네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그분, 세존은,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 밝음과 실천을 갖추신 분, 진리의 길 보이신 분, 세상일을 모두 훤히 아시는 분, 어리석은 이도 잘 이끄시는 위없는 분, 모든 천상과 인간의 스승, 깨달으신 분, 존귀하신 분입니다.’라고 부처님에 대한 확실한 믿음[아주 정확함]을 지닌다. 이것이 첫 번째 공덕(功德)을 쌓고, 유익(有益)을 쌓고, 행복(幸福)의 자량(資糧)이 되는 것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dhamme ... pe ... saṅghe ... pe ....
다시,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가르침에 대한 … 성자들에 대한 …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paññavā hoti udayatthagāminiyā paññāya samannāgato ariyāya nibbedhikāya sammā dukkhakkhayagāminiyā. ayaṃ catuttho puññābhisando kusalābhisando sukhassāhāro. ime kho, bhikkhave, cattāro puññābhisandā kusalābhisandā sukhassāhārā”ti. tatiyaṃ.
다시,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지혜를 가졌다. 자라남-줄어듦으로 이끌고, 성스러운 꿰뚫음에 의해 괴로움의 부서짐으로 바르게 이끄는 지혜를 갖춘다. 이것이 공덕(功德)을 쌓고, 유익(有益)을 쌓고, 행복(幸福)의 자량(資糧)이 되는 것의 네 번째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공덕(功德)을 쌓고, 유익(有益)을 쌓고, 행복(幸福)의 자량(資糧)이 되는 것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