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samādhi
2. paṭisallānasuttaṃ (SN 56.2)
2. paṭisallānasuttaṃ (SN 56.2)
“paṭisallāne, bhikkhave, yogamāpajjatha. paṭisallīno, bhikkhave, bhikkhu yathābhūtaṃ pajānāti. ki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idaṃ dukkhan’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ayaṃ dukkhasamudayo’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ayaṃ dukkhanirodho’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ay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yathābhūtaṃ pajānāti. paṭisallāne, bhikkhave, yogamāpajjatha. paṭisallīno, bhikkhave, bhikkhu yathābhūtaṃ pajānāti.
“비구들이여, 홀로 머묾에서 수행하라. 비구들이여, 홀로 머무는 비구는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무엇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가? ‘이것이 고(苦)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고집(苦集)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고멸(苦滅)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고멸도(苦滅道)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홀로 머묾에서 수행하라. 비구들이여, 홀로 머무는 비구는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tasmātiha, bhikkhave, ‘idaṃ dukkhan’ti yogo karaṇīyo, ‘ayaṃ dukkhasamudayo’ti yogo karaṇīyo, ‘ayaṃ dukkhanirodho’ti yogo karaṇīyo, ‘ay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yogo karaṇīyo”ti.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이것이 고(苦)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집(苦集)이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苦滅)이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도(苦滅道)다.’라고 수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