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samādhi
5. paṭhamasamaṇabrāhmaṇasuttaṃ (SN 56.5)
5. paṭhamasamaṇabrāhmaṇasuttaṃ (SN 56.5)
“ye hi keci, bhikkhave, atītamaddhānaṃ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yathābhūtaṃ abhisambojjhiṃsu, sabbe te cattāri ariyasaccāni yathābhūtaṃ abhisambojjhiṃsu. ye hi keci, bhikkhave, anāgatamaddhānaṃ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yathābhūtaṃ abhisambojjhissanti, sabbe te cattāri ariyasaccāni yathābhūtaṃ abhisambojjhissanti. ye hi keci, bhikkhave, etarahi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yathābhūtaṃ abhisambojjhanti, sabbe te cattāri ariyasaccāni yathābhūtaṃ abhisambojjhanti.
• abhisambujjhati [abhi + sambujjhati] to become wideawake, to awake to the highest knowledge, to gain the highest wisdom (sammāsambodhiŋ)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과거에 있는 그대로 깨달은 사문이나 바라문은 모두 사성제(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깨달았다.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미래에 있는 그대로 깨달을 사문이나 바라문은 모두 사성제(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깨달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현재 있는 그대로 깨닫는 사문이나 바라문은 모두 사성제(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깨닫는다.
“katamāni cattāri? dukkhaṃ ariyasaccaṃ ... pe ...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ye hi keci, bhikkhave, atītamaddhānaṃ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yathābhūtaṃ abhisambojjhiṃsu ... pe ... abhisambojjhissanti ... pe ... abhisambojjhanti, sabbe te imāni cattāri ariyasaccāni yathābhūtaṃ abhisambojjhanti.
무엇이 네 가지인가? 고성제(苦聖蹄)와 … 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이다.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과거에 있는 그대로 깨달은 사문이나 바라문은 모두 사성제(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깨달았다.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미래에 있는 그대로 깨달을 사문이나 바라문은 모두 사성제(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깨달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현재 있는 그대로 깨닫는 사문이나 바라문은 모두 이 사성제(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깨닫는다.”
“tasmātiha, bhikkhave, ‘idaṃ dukkhan’ti yogo karaṇīyo ... pe ... ‘ay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yogo karaṇīyo”ti.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이것이 고(苦)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집(苦集)이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苦滅)이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도(苦滅道)다.’라고 수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