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samādhi
7. vitakkasuttaṃ (SN 56.7)
7. vitakkasuttaṃ (SN 56.7)
“mā, bhikkhave, pāpake akusale vitakke vitakkeyyātha, seyyathidaṃ — kāmavitakkaṃ, byāpādavitakkaṃ, vihiṃsāvitakkaṃ. taṃ kissa hetu? nete, bhikkhave, vitakkā atthasaṃhitā nādibrahmacariyakā na nibbidāya na virāgāya na nirodhāya na upasamāya na abhiññāya na sambodhāya na nibbānāya saṃvattanti.
“비구들이여, 다음과 같은 악하고 불선한 위딱까들을 일으키지 말라. ㅡ 소유의 위딱까, 분노의 위딱까, 폭력의 위딱까.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이 위딱까들은 이익으로 이끌지 않고, 범행(梵行)의 시작이 아니고, 염오(厭惡)로 이탐(離貪)으로 소멸(消滅)로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끌지 않는다.
“vitakkentā ca kho tumhe, bhikkhave, ‘idaṃ dukkhan’ti vitakkeyyātha, ‘ayaṃ dukkhasamudayo’ti vitakkeyyātha, ‘ayaṃ dukkhanirodho’ti vitakkeyyātha, ‘ay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vitakkeyyātha. taṃ kissa hetu? ete, bhikkhave, vitakkā atthasaṃhitā ete ādibrahmacariyakā ete nibbidāya virāgāya nirodhāya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nti.
비구들이여, 위딱까 하는 그대들은 참으로 ‘이것이 고(苦)다’라고 위딱까 해야 한다. ‘이것이 고집(苦集)이다.’라고 위딱까 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苦滅)이다.’라고 위딱까 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도(苦滅道)다.’라고 위딱까 해야 한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이 위딱까들은 이익으로 이끌고, 범행(梵行)의 시작이고, 염오(厭惡)로 이탐(離貪)으로 소멸(消滅)로 가라앉음으로 실다운 지혜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끈다.”
“tasmātiha, bhikkhave, ‘idaṃ dukkhan’ti yogo karaṇīyo ... pe ... ‘ay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yogo karaṇīyo”ti.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이것이 고(苦)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집(苦集)이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苦滅)이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이것이 고멸도(苦滅道)다.’라고 수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