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5권 > dhammacakkappavattana
7. avijjāsuttaṃ (SN 56.17-무명 경)
2. dhammacakkappavattanavaggo, 7. avijjāsuttaṃ (SN 56.17-무명 경)
1087. ekamantaṃ nisinno kho so bhikkhu bhagavantaṃ etadavoca — “‘avijjā, avijjā’ti bhante, vuccati. katamā nu kho, bhante, avijjā; kittāvatā ca avijjāgato hotī”ti? “yaṃ kho, bhikkhu, dukkhe aññāṇaṃ, dukkhasamudaye aññāṇaṃ, dukkhanirodhe aññāṇaṃ, dukkh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aññāṇaṃ — ayaṃ vuccati, bhikkhu, avijjā; ettāvatā ca avijjāgato hotī”ti.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는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대덕이시여, ‘무명, 무명’이라고 불립니다. 무엇이 무명이고, 어떤 점에서 무명에 속한 것입니까?” “비구여, 고(苦)에 대한 무지(無知), 고집(苦集)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苦滅)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苦滅)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무지(無知) ㅡ 비구여, 이것이 무명(無明)이라고 불린다. 이런 점에서 무명에 속한 것이다.
“tasmātiha, bhikkhu, ‘idaṃ dukkhan’ti yogo karaṇīyo ... pe ... ‘ay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yogo karaṇīyo”ti. sattamaṃ.
그러므로 비구여, ‘이것이 고(苦)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 ‘이것이 고(苦)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이다.’라고 수행해야 한다.”
Comments
보인
2023.06.28 05:4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