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dutiyavaggo (AN 1.298-307-두 번째 품)
16. ekadhammapāḷi, 2. dutiyavaggo (AN 1.298-307-두 번째 품)
삿된 견해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생겨나지 않은 불선법(不善法)들은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불선법들은 점점 더 커져서 가득 차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삿된 견해는, 비구들이여, 생겨나지 않은 불선법들은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불선법들은 점점 더 커져서 가득 차게 한다.
바른 견해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생겨나지 않은 선법(善法)들은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선법들은 점점 더 커져서 가득 차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바른 견해는, 비구들이여, 생겨나지 않은 선법들은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선법들은 점점 더 커져서 가득 차게 한다.
삿된 견해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생겨나지 않은 선법(善法)들은 생겨나지 않게 하고, 생겨난 선법들은 버려지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삿된 견해는, 비구들이여, 생겨나지 않은 선법들은 생겨나지 않게 하고, 생겨난 선법들은 버려지게 한다.
바른 견해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생겨나지 않은 불선법(不善法)들은 생겨나지 않게 하고, 생겨난 불선법들은 버려지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바른 견해는, 비구들이여, 생겨나지 않은 불선법들은 생겨나지 않게 하고, 생겨난 불선법들은 버려지게 한다.
비여리작의(非如理作意)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생겨나지 않은 삿된 견해는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삿된 견해는 늘어나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비여리작의는, 비구들이여, 생겨나지 않은 삿된 견해는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삿된 견해는 늘어나게 한다.
여리작의(如理作意)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생겨나지 않은 바른 견해는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바른 견해는 늘어나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비여리작의는, 비구들이여, 생겨나지 않은 바른 견해는 생겨나게 하고, 생겨난 바른 견해는 늘어나게 한다.
삿된 견해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중생들이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나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삿된 견해를 갖춘 중생은, 비구들이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난다.
바른 견해처럼, 비구들이여, 나는 중생들이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나게 하는 다른 하나의 법도 보지 못한다. 바른 견해를 갖춘 중생은, 비구들이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난다.
비구들이여, 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에게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몸으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말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의(意)로 행한 업, 의도, 기대, 지향, 행(行)들과 같은 모든 법은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손해와 괴로움으로 이끈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견해가 나쁘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님바 나무의 씨앗이나 꼬사따끼 넝쿨의 씨앗이나 쓴 조롱박의 씨앗을 젖은 땅에 심으면, 땅에서 영양소를 섭취하고 물에서 영양소를 섭취한 그것들은 모두 쓰고, 시고, 맛이 없게 된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씨앗이 나쁘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에게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몸으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말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의(意)로 행한 업, 의도, 기대, 지향, 행(行)들과 같은 모든 법은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손해와 괴로움으로 이끈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견해가 나쁘다.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에게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몸으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말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의(意)로 행한 업, 의도, 기대, 지향, 행(行)들과 같은 모든 법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즐거움으로 이끈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견해가 좋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사탕수수의 씨앗이나 좋은 볍씨나 포도씨를 젖은 땅에다 심으면, 땅에서 영양소를 섭취하고 물에서 영양소를 섭취하는 그것들은 모두 달고, 꿀맛이고, 아주 맛있게 된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씨앗이 좋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에게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몸으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말로 행한 업, 견해를 온전히 수용하여 의(意)로 행한 업, 의도, 기대, 지향, 행(行)들과 같은 모든 법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즐거움으로 이끈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견해가 좋다.
※ 306-307은 bījasuttaṃ (AN 10.104-씨앗 경) 참조. → 십사도(十邪道)와 십정도(十正道)에 대해 같은 내용을 설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