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1~4모음 > bāla
(AN 2.22-32 – 어리석은 자 품)[vijjābhāgiya-sutta(A2:3:10-명(明)과 연결됨 경)]
1. paṭhamapaṇṇāsakaṃ, 3. bālavaggo (AN 2.22-32 – 어리석은 자 품)
[vijjābhāgiya-sutta(A2:3:10-명(明)과 연결됨 경)]
32. “dve me, bhikkhave, dhammā vijjābhāgiyā. katame dve? samatho ca vipassanā ca. samatho, bhikkhave, bhāvito kamattha manubhoti? cittaṃ bhāvīyati. cittaṃ bhāvitaṃ kamatthamanubhoti? yo rāgo so pahīyati. vipassanā, bhikkhave, bhāvitā kamatthamanubhoti? paññā bhāvīyati. paññā bhāvitā kamatthamanubhoti? yā avijjā sā pahīyati. rāgupakkiliṭṭhaṃ vā, bhikkhave, cittaṃ na vimuccati, avijjupakkiliṭṭhā vā paññā [na (PTS)] bhāvīyati. iti kho, bhikkhave, rāgavirāgā cetovimutti, avijjāvirāgā paññāvimuttī”ti.
비구들이여, 두 가지 법은 명(明)과 연결된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사마타를 닦을 때 어떤 이익을 경험하는가? 심(心)이 닦아진다. 심(心)을 닦을 때 어떤 이익을 경험하는가? 탐(貪)이 버려진다. 비구들이여, 위빳사나를 닦을 때 어떤 이익을 경험하는가? 지혜가 닦아진다. 지혜를 닦을 때 어떤 이익을 경험하는가? 무명(無明)이 버려진다. 비구들이여, 탐(貪)에 오염된 심(心)은 해탈하지 못한다. 또는 무명(無明)에 오염된 지혜는 닦아진다[닦아지지 못한다(PTS)]. 이렇게, 비구들이여, 탐(貪)의 바램으로부터 심해탈(心解脫)이 있고, 무명(無明)의 바램으로부터 혜해탈(慧解脫)이 있다."
Comments
대원행
2022.04.25 21:45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4&&page=2c_81 참조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2 - (22-26)여래를 비난하는 자 & (DN 5-꾸따단따 경)보시와 오계의 공덕 차이)
대원행
2022.04.25 21:48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5&&page=2c_82 참조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2 - (27-32)[명(明)과 연결되는 사마타와 위빳사나)
보인
2023.05.29 14:1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