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1~4모음 > samacitta
samacittavaggo (AN 2.33-42-평등한 심(心) 품) 36. 어디에 보시해야 합니까?
4. samacittavaggo (AN 2.33-42-평등한 심(心) 품) 36.
36. atha kho anāthapiṇḍiko gahapati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anāthapiṇḍiko gahapati bhagavantaṃ etadavoca — “kati nu kho, bhante, loke dakkhiṇeyyā, kattha ca dānaṃ dātabban”ti? “dve kho, gahapati, loke dakkhiṇeyyā — sekho ca asekho ca. ime kho, gahapati, dve loke dakkhiṇeyyā, ettha ca dānaṃ dātabban”ti.
그때 아나타삔디까 장자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나타삔디까 장자는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대덕이시여, 세상에는 보시받을만한 분들이 얼마나 있습니까? 그리고 어디에 보시해야 합니까?” “장자여, 세상에는 유학(有學)과 무학(無學)의 두 가지 보시받을만한 분들이 있다. 장자여, 이런 두 가지 보시받을만한 분들이 있다. 여기에 보시해야 한다.”
idamavoca bhagavā. idaṃ vatvāna sugato athāparaṃ etadavoca satthā —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스승이신 선서(善逝)는 이렇게 말한 뒤에 다시 이렇게 말했다. ㅡ
“sekho asekho ca imasmiṃ loke,
āhuneyyā yajamānānaṃ honti.
te ujjubhūtā kāyena, vācāya uda cetasā.
khettaṃ taṃ yajamānānaṃ, ettha dinnaṃ mahapphalan”ti.
“이 세상에 있는 유학(有學)과 무학(無學)이
제사를 지내는 사람을 위한 공양받을만한 분들이다.
몸과 말과 심(心)으로 올곧은 그 존재들이
제사를 지내는 사람을 위한 그 밭이다. 여기에 보시한 것은 큰 결실이 있다.”
Comments
대원행
2022.04.25 22:18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8&page=2 참조 (수업동영상 : 앙굿따라 둘의 모음( 35-36)[1)말하고 가르친 것, 2)보시 & 소유-존재-해탈된 삶 & 성자(유학-무학)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