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3. sanimittavaggo (AN 2.78-87 – 상(相)과 함께 품)
(8) 3. sanimittavaggo (AN 2.78-87 – 상(相)과 함께 품)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무상(無相)이 아니라 상(相)과 함께 생겨난다. 그 상(相)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인연(因緣) 없음이 아니라 인연과 함께 생겨난다. 그 인연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원인 없음이 아니라 원인과 함께 생겨난다. 그 원인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행(行)들의 극복이 아니라 행들과 함께 생겨난다. 그 행들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조건 없음이 아니라 조건과 함께 생겨난다. 그 조건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색(色)의 극복이 아니라 색과 함께 생겨난다. 그 색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수(受)의 극복이 아니라 수와 함께 생겨난다. 그 수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상(想)의 극복이 아니라 상과 함께 생겨난다. 그 상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식(識)의 극복이 아니라 식과 함께 생겨난다. 그 식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은 무위(無爲)의 대상이 아니라 유위(有爲)의 대상과 함께 생겨난다. 그 유위의 버림을 통해 이렇게 그 악한 불선법들이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