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cintīsuttaṃ (AN 3.3-생각 경)
1. bālavaggo, 3. cintīsuttaṃ (AN 3.3-생각 경)
• apadāna: life history; legend. (nt.) ― mahāpadānasuttaṃ (DN 14-대전기경(大傳記經))
비구들이여, 어리석은 자에게 이런 세 가지 어리석은 자의 특징, 어리석은 자의 표상, 어리석은 자의 삶의 역사가 있다. 어떤 세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어리석은 자는 나쁘게 생각된 생각을 하고, 나쁘게 말해진 말을 하고, 나쁘게 행위 된 행위를 한다. 만약에, 비구들이여, 이 어리석은 사람이 나쁘게 생각된 생각을 하고, 나쁘게 말해진 말을 하고, 나쁘게 행위 된 행위를 하지 않는다면, 현명한 사람이 어떻게 그를 ‘이 존자는 어리석고, 고결하지 못하다.’라고 알겠는가? 비구들이여, 이 어리석은 사람이 나쁘게 생각된 생각을 하고, 나쁘게 말해진 말을 하고, 나쁘게 행위 된 행위를 하기 때문에 현명한 사람이 그를 ‘이 존자는 어리석고, 고결하지 못하다.’라고 안다. 비구들이여, 어리석은 자에게 이런 세 가지 어리석은 자의 특징, 어리석은 자의 표상, 어리석은 자의 삶의 역사가 있다.
비구들이여, 현명한 자에게 이런 세 가지 현명한 자의 특징, 현명한 자의 표상, 현명한 자의 삶의 역사가 있다. 어떤 세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현명한 자는 좋게 생각된 생각을 하고, 좋게 말해진 말을 하고, 좋게 행위 된 행위를 한다. 만약에, 비구들이여, 이 현명한 사람이 좋게 생각된 생각을 하고, 좋게 말해진 말을 하고, 좋게 행위 된 행위를 하지 않는다면, 현명한 사람이 어떻게 그를 ‘이 존자는 현명하고, 고결하다.’라고 알겠는가? 비구들이여, 이 현명한 사람이 좋게 생각된 생각을 하고, 좋게 말해진 말을 하고, 좋게 행위된 행위를 하기 때문에 현명한 사람이 그를 ‘이 존자는 현명하고, 고결하다.’라고 안다. 비구들이여, 현명한 자에게 이런 세 가지 현명한 자의 특징, 현명한 자의 표상, 현명한 자의 삶의 역사가 있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 ‘갖추면 어리석은 자라고 알려지는 세 가지 법들을 피하고, 갖추면 현명한 자라고 알려지는 세 가지 법들을 수용하면서 우리는 살아가리라.’라고.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