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1~4모음 > bāla
9. khatasuttaṃ (AN 3.9-파 엎음 경)
1. bālavaggo, 9. khatasuttaṃ (AN 3.9-파 엎음 경)
9. “t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ālo abyatto asappuriso khataṃ 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sāvajjo ca hoti sā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apuññaṃ pasavati. katamehi tīhi? kāyaduccaritena, vacīduccaritena, manoduccaritena. imehi kho, bhikkhave, tīhi dhammehi samannāgato bālo abyatto asappuriso khataṃ 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sāvajjo ca hoti sā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apuññaṃ pasavati.
• (AN 2.131-141-기원 품)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갖춘 어리석고 배우지 못한 고결하지 못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고 파멸시킨다. 그는 결점이 있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으며 많은 악덕(惡德)을 쌓는다. 어떤 세 가지인가? 몸의 나쁜 행위, 말의 나쁜 행위, 의(意)의 나쁜 행위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을 갖춘 어리석고 배우지 못한 고결하지 못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고 파멸시킨다. 그는 결점이 있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으며 많은 악덕(惡德)을 쌓는다.
“t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paṇḍito viyatto sappuriso akkhataṃ an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anavajjo ca hoti ana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puññaṃ pasavati. katamehi tīhi? kāyasucaritena, vacīsucaritena, manosucaritena. imehi kho, bhikkhave, tīhi dhammehi samannāgato paṇḍito viyatto sappuriso akkhataṃ an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anavajjo ca hoti ana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puññaṃ pasavatī”ti. navamaṃ.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갖춘 현명하고 잘 배운 고결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지 않고 파멸시키지 않는다. 그는 결점이 없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지 않으며 많은 공덕(功德)[복(福)]을 쌓는다. 어떤 세 가지인가? 몸의 좋은 행위, 말의 좋은 행위, 의(意)의 좋은 행위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법을 갖춘 현명하고 잘 배운 고결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지 않고 파멸시키지 않는다. 그는 결점이 없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지 않으며 많은 공덕(功德)[복(福)]을 쌓는다.
Comments
대원행
2022.04.21 15:02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50&sca=%EC%85%8B%EC%9D%98+%EB%AA%A8%EC%9D%8C 참조 (AN 3. 어리석은 자 품 - 악업을 피하고 선업을 수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