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paṭhamakhatasuttaṃ (AN 4.3-파 엎음 경1)
1. bhaṇḍagāmavaggo, 3. paṭhamakhatasuttaṃ (AN 4.3-파 엎음 경1)
• (AN 2.131-141-기원 품) 135-136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4_02&wr_id=2
• 게송의 공유 → (SN 6.10-꼬깔리까 경)
3. “cat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ālo abyatto asappuriso khataṃ 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sāvajjo ca hoti sā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apuññaṃ pasavati. katamehi catūhi? ananuvicca apariyogāhetvā avaṇṇārahassa vaṇṇaṃ bhāsati, ananuvicca apariyogāhetvā vaṇṇārahassa avaṇṇaṃ bhāsati, ananuvicca apariyogāhetvā appasādanīye ṭhāne pasādaṃ upadaṃseti, ananuvicca apariyogāhetvā pasādanīye ṭhāne appasādaṃ upadaṃseti —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bālo abyatto asappuriso khataṃ 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sāvajjo ca hoti sā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apuññaṃ pasavati.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갖춘 어리석고 배우지 못한 고결하지 못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고 파멸시킨다. 그는 결점이 있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으며 많은 악덕을 쌓는다. 어떤 네 가지인가? 알지도 못하고 조사도 하지 않은 채 칭찬할 만하지 않은 사람을 칭찬한다. 알지도 못하고 조사도 하지 않은 채 칭찬할 만한 사람을 칭찬하지 않는다. 알지도 못하고 조사도 하지 않은 채 믿을 만하지 않은 곳에 믿음을 분명히 한다. 알지도 못하고 조사도 하지 않은 채 믿을 만한 곳에 믿음을 분명히 하지 않는다. ―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법을 갖춘 어리석고 배우지 못한 고결하지 못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고 파멸시킨다. 그는 결점이 있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으며 많은 악덕을 쌓는다.
“cat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paṇḍito viyatto sappuriso akkhataṃ an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anavajjo ca hoti ana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puññaṃ pasavati. katamehi catūhi? anuvicca pariyogāhetvā avaṇṇārahassa avaṇṇaṃ bhāsati, anuvicca pariyogāhetvā vaṇṇārahassa vaṇṇaṃ bhāsati, anuvicca pariyogāhetvā appasādanīye ṭhāne appasādaṃ upadaṃseti, anuvicca pariyogāhetvā pasādanīye ṭhāne pasādaṃ upadaṃseti —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paṇḍito viyatto sappuriso akkhataṃ an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anavajjo ca hoti ana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puññaṃ pasavatī”ti.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갖춘 현명하고 잘 배운 고결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지 않고 파멸시키지 않는다. 그는 결점이 없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지 않으며 많은 공덕[복(福)]을 쌓는다. 어떤 네 가지인가? 알기도 하고 조사도 하여서 칭찬할 만하지 않은 사람을 칭찬하지 않는다. 알기도 하고 조사도 하여서 칭찬할 만한 사람을 칭찬한다. 알기도 하고 조사도 하여서 믿을 만한 곳에 믿음을 분명히 한다. 알지도 못하고 조사도 하지 않은 채 믿을 만하지 않은 곳에 믿음을 분명히 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법을 갖춘 현명하고 잘 배운 고결한 사람은 자신을 파 엎지 않고 파멸시키지 않는다. 그는 결점이 없고 지자들의 비난을 받지 않으며 많은 공덕을 쌓는다.
“yo nindiyaṃ pasaṃsati,
taṃ vā nindati yo pasaṃsiyo.
vicināti mukhena so kaliṃ,
kalinā tena sukhaṃ na vindati.
비난해야 할 사람을 칭찬하거나 칭찬해야 할 사람을 비난하는 사람은
입으로 불운(kali)을 쌓는다. 그 불운 때문에 행복을 얻지 못한다.
“appamatto ayaṃ kali,
yo akkhesu dhanaparājayo.
sabbassāpi sahāpi attanā,
ayameva mahantataro kali.
yo sugatesu manaṃ padosaye.
주사위 던지기에서 모든 재산을 잃고 자신도 잃는 패(kali)는 작은 것이다.
선서(善逝)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는 것은 더 크게 잃는 패(mahantaro kali)다.
“sataṃ sahassānaṃ nirabbudānaṃ,
chattiṃsatī pañca ca abbudāni.
yamariyagarahī nirayaṃ upeti,
vācaṃ manañca paṇidhāya pāpakan”ti. tatiyaṃ.
십만 삼십육의 니랍부다 지옥과 다섯의 압부다 지옥!
성자를 비난하는 자는 말과 의(意)로 악을 지향한 탓에 지옥에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