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1~4모음 > bhaṇḍagāma
9. taṇhuppādasuttaṃ (AN 4.9-애(愛)의 생김 경)
1. bhaṇḍagāmavaggo, 9. taṇhuppādasuttaṃ (AN 4.9-애(愛)의 생김 경)
9. “cattārome, bhikkhave, taṇhuppādā yattha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katame cattāro? cīvarahetu vā, bhikkhave,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piṇḍapātahetu vā, bhikkhave,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senāsanahetu vā, bhikkhave,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itibhavābhavahetu vā, bhikkhave,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ime kho, bhikkhave, cattāro taṇhuppādā yattha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ī”ti.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애(愛)가 생길 때 어디에서 생기는지에 따라 이런 네 가지 애(愛)의 생겨남이 있다. 어떤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애(愛)가 생길 때 옷을 원인으로 생긴다.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애(愛)가 생길 때 탁발 음식을 원인으로 생긴다.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애(愛)가 생길 때 거처를 원인으로 생긴다.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애(愛)가 생길 때 이렇게 존재와 존재의 극복[또는이 세상과 저세상]을 원인(*)으로 생긴다.
“taṇhā dutiyo puriso, dīghamaddhāna saṃsaraṃ.
itthabhāvaññathābhāvaṃ, saṃsāraṃ nātivattati.
애(愛)를 동반하는 사람은 오랫동안 윤회한다.
이 세상의 존재거나 다른 종류로 전개되는 윤회를 건너지 못한다.
“evamādīnavaṃ ñatvā, taṇhaṃ dukkhassa sambhavaṃ.
vītataṇho anādāno, sato bhikkhu paribbaje”ti. navamaṃ.
이렇게 애(愛)가 고(苦)의 원인이라고 위험을 알아서
비구는 애가 없는 자, 붙잡지 않는 자, 사띠를 가진 자로서 유행해야 한다.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03. 무엇이라고 경[부처님이 법을 설한 이유와 적절한 질책 & 갈애 토론](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823)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1_03&wr_id=2
Comments
대원행
2023.07.15 21:04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24 참조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 - (6-10)[사무소외 - 갈애의 생김 - 속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