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amādhibhāvanāsuttaṃ (AN 4.41-삼매수행(三昧修行) 경) 독송용
5. rohitassavaggo, 1. samādhibhāvanāsuttaṃ (AN 4.41-삼매수행 경)
짜땃소- 이마-,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까따마- 짜땃소-? 앗티,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딧타담마수카위하-라-야 상왓따띠; 앗티,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냐-나닷사납빠띨라-바-야 상왓따띠; 앗티,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사띠삼빠쟌냐-야 상왓따띠; 앗티,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아-사와-낭 카야-야 상왓따띠;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삼매수행(三昧修行)이 있다. 어떤 넷인가?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하면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이 있다.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하면 지(知)와 견(見)의 얻음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이 있다. 닦고 많이 행하면 염(念)-정지(正知)로 이끄는 삼매수행이 있다. 닦고 많이 행하면 번뇌들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이 있다.
까따마- 짜,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딧타담마수카위하-라-야 상왓따띠? 이다, 빅카웨-, 빅쿠 위윗쩨-와 까-메-히 위윗짜 아꾸살레-히 담메-히 사위딱깡 사위짜-랑 위웨-까장 삐-띠수캉 빠타망 자-낭 우빠삼빳자 위하라띠. 위딱까위짜-라-낭 우-빠사마- 앗잣땅 삼빠사-다낭 쩨-따소- 에-꼬-디바-왕 아위딱깡 아위짜-랑 사마-디장 삐-띠수캉 두띠양 자-낭 우빠삼빳자 위하라띠. 삐-띠야- 짜 위라-가 우뻭카꼬- 짜 위하라띠 사또- 짜 삼빠자-노-, 수칸짜 까-예-나 빠띠상웨-데-띠, 양 땅 아리야- 아-찍칸띠 — '우뻭-카꼬- 사띠마- 수카위하-리-'띠 따띠양 자-낭 우빠삼빳자 위하라띠. 수캇사 짜 빠하-나- 둑캇사 짜 빠하-나- 뿝베-와 소-마낫사도-마낫사-낭 앗탕가마- 아둑카마수캉 우뻭카-사띠빠-리숫딩 짜뚯탕 자-낭 우빠삼빳자 위하라띠. 아양,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딧타담마수카위하-라-야 상왓따띠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닦고 많이 행하면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소유의 삶에서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에서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위딱까와 위짜라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위딱까도 없고 위짜라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기쁨의 바램으로부터 평정하게 머물고, 사띠-삼빠자나 하면서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한다. 성인들이 '평정을 가진 자, 사띠를 가진 자, 즐거움에 머무는 자[사념락주(捨念樂住)].'라고 말하는 제삼선(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즐거움의 버림과 괴로움의 버림으로부터, 이미 만족과 불만들의 줄어듦으로부터, 괴로움도 즐거움도 없고 평정과 청정한 사띠[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하면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이다.
까따마- 짜,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냐-나닷사납빠띨라-바-야 상왓따띠? 이다, 빅카웨-, 빅쿠 아-ㄹ로-까산냥 마나시 까로-띠, 디와-산냥 아딧타-띠 ― 야타- 디와- 따타- 랏띵, 야타- 랏띵 따타- 디와-, 이띠 위와떼-나 쩨-따사- 아빠리요-낟데-나 삽빠바-상 찟땅 바-웨-띠. 아양,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냐-나닷사납빠띨라-바-야 상왓따띠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닦고 많이 행하면 지(知)와 견(見)의 얻음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광명상(光明想)을 작의(作意)하고, ‘낮처럼 밤을, 밤처럼 낮을’이라며 낮의 상(想)을 확립한다. 이렇게 열려있고 덮여있지 않은 심(心)으로 빛나는 심(心)을 닦는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하면 지(知)와 견(見)의 얻음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이다.
까따마- 짜,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사띠삼빠쟌냐-야 상왓따띠? 이다, 빅카웨-, 빅쿠노- 위디따- 웨-다나- 웁빳잔띠, 위디따- 우빳타한띠, 위디따- 압밧탕 갓찬띠; 위디따- 산냐- 웁빳잔띠, 위디따- 우빳타한띠, 위디따- 압밧탕 갓찬띠; 위디따- 위딱까- 웁빳잔띠, 위디따- 우빳타한띠, 위디따- 압밧탕 갓찬띠; 아양,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사띠삼빠쟌냐-야 상왓따띠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닦고 많이 행하면 념(念)-정지(正知)로 이끄는 삼매수행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에게 수(受)들은 보이는 것이 생기고, 보이는 것이 현재하고, 보이는 것이 없어진다. 상(想)들은 보이는 것이 생기고, 보이는 것이 현재하고, 보이는 것이 없어진다. 위딱까들은 보이는 것이 생기고, 보이는 것이 현재하고, 보이는 것이 없어진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하면 념(念)-정지(正知)로 이끄는 삼매수행이다.
까따마- 짜,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아-사와-낭 카야-야 상왓따띠? 이다, 빅카웨-, 빅쿠 빤짜수 우빠-다-낙칸데-수 우다얍바야-누빳시- 위하라띠 ― ‘이띠 루-빵, 이띠 루-빳사 사무다요-, 이띠 루-빳사 앗탕가모-; 이띠 웨-다나-, 이띠 웨-다나-야 사무다요-, 이띠 웨-다나-야 앗탕가모-; 이띠 산냐-, 이띠 산냐-야 사무다요-, 이띠 산냐-야 앗탕가모-; 이띠 상카-라-, 이띠 상카-라-낭 사무다요-, 이띠 상카-라-낭 앗탕가모-; 이띠 윈냐-낭, 이띠 윈냐-낫사 사무다요-, 이띠 윈냐-낫사 앗탕가모-’띠. 아양, 빅카웨-, 사마-디바-와나- 바-위따- 바훌리-까따- 아-사와-낭 카야-야 상왓따띠. 이마- 코-, 빅카웨-, 짜땃소- 사마-디바-와나-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닦고 많이 행하면 번뇌들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오취온(五取蘊)에서 생겨남과 무너짐을 이어보면서 머문다. ― ‘이렇게 색(色)이 있고, 이렇게 색(色)이 자라나고, 이렇게 색(色)이 줄어든다. 이렇게 수(受)가 있고, 이렇게 수(受)가 자라나고, 이렇게 수(受)가 줄어든다. 이렇게 상(想)이 있고, 이렇게 상(想)이 자라나고, 이렇게 상(想)이 줄어든다. 이렇게 행(行)들이 있고, 이렇게 행(行)들이 자라나고, 이렇게 행(行)들이 줄어든다. 이렇게 식(識)이 있고, 이렇게 식(識)이 자라나고, 이렇게 식(識)이 줄어든다.’라고. 이것이,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하면 번뇌들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삼매수행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삼매수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