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자의 행복] 2. ānaṇyasuttaṃ (AN 4.62-빚 없음 경)
2. pattakammavaggo, 2. ānaṇyasuttaṃ (AN 4.62-빚 없음 경)
이 경은 iṇasuttaṃ (AN 6.45-빚 경)과 연결됩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4_05&wr_id=10
불교입문(1-소유 210105) ― 소유하고자 하는 자의 용례 5)빚 (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22
그때 아나타삔디까 장자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나타삔디까 장자에게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재가자가 적절한 때, 적절한 경우에 붙잡아 얻어야 하는 이런 네 가지 행복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있음의 행복, 재물의 행복, 빚 없는 행복, 결점 없는 행복이다.”
“장자여, 그러면 무엇이 있음의 행복인가? 장자여, 여기 좋은 가문의 아들에게 열정적인 노력으로 얻었고 팔의 힘으로 모았고 땀으로 덮었고 법과 함께하고 법의 실천으로 얻은 재물이 있다. 그는 ‘나에게 열정적인 노력으로 얻었고 팔의 힘으로 모았고 땀으로 덮었고 법과 함께하고 법의 실천으로 얻은 재물이 있다.’라고 행복을 얻고 만족을 얻는다. 장자여, 이것이 있음의 행복이라고 불린다.”
“장자여, 그러면 무엇이 재물의 행복인가? 장자여, 여기 좋은 가문의 아들은 열정적인 노력으로 얻었고 팔의 힘으로 모았고 땀으로 덮었고 법과 함께하고 법의 실천으로 얻은 재물을사용하고, 공덕을 짓는다. 그는 ‘나는 열정적인 노력으로 얻었고 팔의 힘으로 모았고 땀으로 덮었고 법과 함께하고 법의 실천으로 얻은 재물을사용하고 공덕을 짓는다.’라고 행복을 얻고 만족을 얻는다. 장자여, 이것이 재물의 행복이라고 불린다.”
“장자여, 그러면 어떤 것이 빚 없는 행복인가? 장자여, 여기 좋은 가문의 아들은 적든 많든 누구에게도 무엇도 부담하지 않는다. 그는 ‘나는 적든 많든 누구에게도 무엇도 부담하지 않는다.’라고 행복을 얻고 만족을 얻는다. 장자여, 이것이 빚 없는 행복이라고 불린다.”
“장자여, 그러면 무엇이 결점 없는 행복인가? 장자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결점 없는 신업(身業)을 갖추고, 결점 없는 구업(口業)을 갖추고, 결점 없는 의업(意業)을 갖추었다. 그는 ‘나는 신업(身業)을 갖추고, 결점 없는 구업(口業)을 갖추고, 결점 없는 의업(意業)을 갖추었다.’라고 행복을 얻고 만족을 얻는다. 장자여, 이것이 소유하고자 하는 재가자가 적절한 때, 적절한 경우에 붙잡아 얻어야 하는 네 가지 행복이다.”
“ānaṇyasukhaṃ ñatvāna, atho atthisukhaṃ paraṃ.
bhuñjaṃ bhogasukhaṃ macco, tato paññā vipassati.
“vipassamāno jānāti, ubho bhoge sumedhaso.
anavajjasukhassetaṃ, kalaṃ nāgghati soḷasin”ti.
“빚 없는 행복을 알고 난 뒤에 있음의 행복이 나중에 있다.
재물의 행복을 누리는 사람이 있고, 지혜는 그때로부터 관찰한다.
관찰하는 현명한 자는 재물들 모두를 안다. ㅡ
‘이것은 결점 없는 행복의 16분의 1의 가치도 없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