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parihānisuttaṃ (AN 4.158-퇴보 경)
1. indriyavaggo, 8. parihānisuttaṃ (AN 4.158-퇴보 경)
※ parihānadhammasuttaṃ (SN 35.96-퇴보하는 법 경) 참조 ☞ https://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94
158. tatra kho āyasmā sāriputto bhikkhū āmantesi — “āvuso bhikkhave”ti. “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paccassosuṃ. āyasmā sāriputto etadavoca —
거기서 사리뿟따 존자가 비구들을 불렀다. ― “도반 비구들이여.”라고. “도반이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에게 대답했다. 사리뿟따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
“yo hi koci, āvuso, bhikkhu vā bhikkhunī vā cattāro dhamme attani samanupassati, niṭṭhamettha gantabbaṃ —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parihānametaṃ vuttaṃ bhagavatā. katame cattāro? rāgavepullattaṃ, dosavepullattaṃ, mohavepullattaṃ, gambhīresu kho panassa ṭhānāṭhānesu paññācakkhu na kamati. yo hi koci, āvuso, bhikkhu vā bhikkhunī vā ime cattāro dhamme attani samanupassati, niṭṭhamettha gantabbaṃ —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parihānametaṃ vuttaṃ bhagavatā.
“도반들이여, 비구든 비구니든 누구든지 자신의 안에서 네 가지 법들을 관찰하는 자들은 여기서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한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라고 말했다.’라는 결론을 가져야 합니다. 어떤 넷입니까? 탐(貪)이 늘어남, 진(嗔)이 늘어남, 치(癡)가 늘어남, 경우와 경우 아님의 심오함에 대한 혜안(慧眼)을 얻지 못함입니다. 도반들이여, 비구든 비구니든 누구든지 자신의 안에서 이런 네 가지 법들을 관찰하는 자들은 여기서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한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라고 말했다.’라는 결론을 가져야 합니다.
“yo hi koci, āvuso, bhikkhu vā bhikkhunī vā cattāro dhamme attani samanupassati, niṭṭhamettha gantabbaṃ — ‘na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aparihānametaṃ vuttaṃ bhagavatā. katame cattāro? rāgatanuttaṃ, dosatanuttaṃ, mohatanuttaṃ, gambhīresu kho panassa ṭhānāṭhānesu paññācakkhu kamati. yo hi koci, āvuso, bhikkhu vā bhikkhunī vā ime cattāro dhamme attani samanupassati, niṭṭhamettha gantabbaṃ — ‘na parihāyāmi kusalehi dhammehi’. aparihānametaṃ vuttaṃ bhagavatā”ti. aṭṭhamaṃ.
도반들이여, 비구든 비구니든 누구든지 자신의 안에서 네 가지 법들을 관찰하는 자들은 여기서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하지 않는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가 아니라고 말했다.’라는 결론을 가져야 합니다. 어떤 넷입니까? 탐이 줄어듦, 진이 줄어듦, 치가 줄어듦, 경우와 경우 아님의 심오함에 대한 혜안을 얻음입니다. 도반들이여, 비구든 비구니든 누구든지 자신의 안에서 이런 네 가지 법들을 관찰하는 자들은 여기서 ‘나는 선법들로부터 퇴보하지 않는다. 세존은 이것을 퇴보가 아니라고 말했다.’라는 결론을 가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