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1~4모음 > duccarita
2. diṭṭhisuttaṃ (AN 4.222-견해 경)
3. duccaritavaggo, 2. diṭṭhisuttaṃ (AN 4.222-견해 경)
222. “cat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ālo abyatto asappuriso khataṃ 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sāvajjo ca hoti sā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apuññaṃ pasavati. katamehi catūhi? kāyaduccaritena, vacīduccaritena, manoduccaritena, micchādiṭṭhiyā —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bālo abyatto asappuriso khataṃ 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sāvajjo ca hoti sānuvajjo ca viññūnaṃ, bahuñca apuññaṃ pasavati.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갖춘 어리석고, 배우지 못하고, 고결하지 않은 사람은 자신을 상처 입고 손상된 채 둔다. 결점이 많고 현명한 자의 비난을 받는다. 많은 악덕(惡德)을 쌓는다. 어떤 네 가지인가? 몸의 나쁜 행위, 말의 나쁜 행위, 의(意)의 나쁜 행위, 삿된 견해 ㅡ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법을 갖춘 어리석고, 배우지 못하고, 고결하지 않은 사람은 자신을 상처 입고 손상된 채 둔다. 결점이 많고 현명한 자의 비난을 받는다. 많은 악덕(惡德)을 쌓는다.
“cat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paṇḍito viyatto sappuriso akkhataṃ an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anavajjo ca hoti ananuvajjo viññūnaṃ, bahuñca puññaṃ pasavati. katamehi catūhi? kāyasucaritena, vacīsucaritena, manosucaritena, sammādiṭṭhiyā —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paṇḍito viyatto sappuriso akkhataṃ anupahataṃ attānaṃ pariharati, anavajjo ca hoti ananuvajjo viññūnaṃ; bahuñca puññaṃ pasavatī”ti. dutiyaṃ.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갖춘 현명하고, 배웠고, 고결한 사람은 상처 입지 않고 손상되지 않은 자신을 보호한다. 결점이 없고 현명한 자의 비난을 받지 않는다. 많은 공덕(功德)을 쌓는다. 어떤 네 가지인가? 몸의 좋은 행위, 말의 좋은 행위, 의(意)의 좋은 행위, 바른 견해 ㅡ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법을 갖춘 현명하고, 배웠고, 고결한 사람은 상처 입지 않고 손상되지 않은 자신을 보호한다. 결점이 없고 현명한 자의 비난을 받지 않는다. 많은 공덕(功德)을 쌓는다.